한국의 잠재성장률을 높이세요

게시일: 2023년 11월 6일

한국은 1950년대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에서 주요 산업 강국으로 발전하는 속도가 매우 빨랐습니다. 1인당 소득은 1970년 미국의 10%에서 2020년에는 70%로 증가했습니다(그림 1). 게다가 한국은 일본을 추월했다. 한국의 급속한 변화는 효과적인 정책, 특히 건전한 재정 및 통화 정책, 인적, 물적 자본에 대한 높은 수준의 투자, 세계 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높이는 대외 지향성을 통해 달성되었습니다.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OECD 평균 수준으로 떨어졌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한국의 성장 둔화로 인해 고소득 국가와의 수렴을 지속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습니다. 실제로 실질 GDP 성장률은 2002~2012년 연평균 성장률 4.0%에서 지난 10년간 2.7%로 둔화됐다. OECD 추산에 따르면, 경제가 능력과 완전고용을 활용했을 때 유지할 수 있는 생산량 수준으로 정의되는 잠재 생산량의 증가율은 1997~2007년 기간 동안 4.9%에서 2024년 1.7%로 떨어졌습니다. 그림 2). 2023~2024년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미국(1.9%), OECD 평균(1.6%)과 비슷한 수준이고, IMF 전망치는 이보다 높은 2.2%다.

잠재 생산량은 고용, 총요소생산성, 자본스톡을 기준으로 추정됩니다. 리창영한국은행 총재는 2023년 10월 13일 IMF 연차총회에서 “인구통계 추이를 볼 때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2% 안팎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대체적으로는 2% 안팎이 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사회의 고령화로 인해 점차 쇠퇴하고 있다.” “(중앙일보, 2013). 인구학적 문제는 심각합니다. 여성 1명이 평생 낳는 평균 자녀 수인 합계출산율은 2023년 2분기 0.7명으로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더욱이 2023년 8월 출생아 수는 전년 동기보다 12.8% 감소했다. 한국의 생산연령인구는 2017년부터 감소해 왔습니다. OECD의 장기 기준 전망에는 2050~2060년 10년 동안 한국의 실질 GDP 성장률이 0으로 떨어지는 인구통계학적 전망이 반영되어 있습니다(그림 3).

주지사 주지사. 리 총리는 여성과 이주노동자의 고용을 늘리기 위해 구조개혁을 통해 장기적으로 최소 2% 성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2019년 여성 취업률(15~64세)은 58%로 OECD 평균 65%보다 높았다. 게다가 2021년 기준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비율은 4% 미만으로 OECD 평균 13%보다 훨씬 낮았다. 청년 고용 촉진은 또 다른 우선순위입니다. 한국의 15~34세 고용률은 2021년 43%에 달해 OECD 평균인 53%보다 훨씬 낮습니다.

READ  북한의 김 위원장이 가장 힘든 순간을 맞고 있을지도 모른다: NPR

잠재 성장을 촉진하려면 생산성 격차도 줄여야 합니다.

지난 10년 동안 한국의 노동 생산성은 미국 수준의 49%에서 58%로 증가했습니다(그림 4). 격차를 더 좁히면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은 계속해서 고소득 국가들과 수렴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한국의 낮은 생산성은 혁신에 대한 막대한 투자를 고려할 때 다소 놀라운 일입니다.

연구개발 투자는 2018년 GDP의 4.5%에 달해 OECD 국가 중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을 기록했다. 한국의 비즈니스 부문은 연구개발의 약 3/4을 차지합니다. 이 투자 중 상대적으로 큰 부분은 정보통신 기술에 사용됩니다.

– 한국은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디지털 기술 분야에서 특허 수의 선두 주자입니다.

청년층 중 고등교육 졸업자의 비율은 OECD 지역에서 가장 높습니다.

한국은 OECD 국가 중 로봇 활용률이 가장 높다.

한국은 초고속 광대역 분야의 세계 선두주자입니다.

한국은 이러한 강점을 활용하여 낙후된 부문을 강화하고 한국 경제의 양극화를 줄여야 합니다. 첫째,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생산성 격차가 상대적으로 크다. 한국 서비스 부문의 노동 생산성은 제조업 부문의 노동 생산성이 44%에 불과한 데 비해 OECD 지역 평균은 84%입니다(그림 5). 둘째, 중소기업 고용의 약 3분의 2가 서비스업에 종사하고 있다는 사실을 반영하여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격차가 크다. 2015년 중소기업의 노동 생산성은 대기업의 약 1/3에 불과했습니다(그림 6).

결론

세계 출산율 감소로 인한 부정적인 인구학적 역풍에 직면한 한국은 잠재성장률을 유지하기 위한 종합적인 전략이 필요합니다. 출산율을 높이는 조치에는 최고 입찰자와의 엄청난 생산성 격차를 줄이기 위해 한국의 창의성과 혁신에 대한 막대한 투자의 수익을 높이는 정책이 동반되어야 합니다. 노동인구 감소를 줄이기 위한 대책은 청년, 여성, 외국인 고용을 늘리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

랜달 S. 존스 의원은 한미경제연구소의 비거주 저명연구원이다. 여기에 표현된 의견은 저자 개인의 의견입니다.

사진 출처: 크레이그 론 사진집 Flickr 크리에이티브 커먼즈에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지금은 한국이 핵을 가질 때가 아니다

여론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들은 미국의 전술 핵무기를 한반도에 반환하고 고유의 핵 능력을…

중국은 미국 칩 움직임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고 있지만 경제 현실은 어느 정도 제한됩니다.

분석가들은 미국 칩에 대한 광범위한 규제에 대응하여 중국이 미국 칩 제조업체 마이크론에…

한국경제가 계속해서 상승세를 이어갈지 여부를 결정하는 두 가지 요인

송태연 청와대 정책실장이 2024년 4월 25일 청와대에서 올해 1분기 실질GDP 성장률 등…

해외 네트워크 수수료 제안은 미국 ​​콘텐츠 제공업체를 대상으로 합니다.

경제적 디지털 전환으로 인해 전 세계 정부는 광대역 인프라를 현대화하는 데 절실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