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응하기 위한 러시아산 원유 수입 금지를 놓고 미국과 유럽연합(EU) 회원국 간 논의가 이어지면서 국제 유가가 급등했다. 유가가 배럴당 200달러까지 치솟는 3차 오일쇼크 가능성에 대한 경고가 나왔다. 러시아는 서방 동맹국들이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금지할 경우 배럴당 300달러가 넘는 유가 상승을 경고했다. 한국은 석유 수요를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인플레이션과 수출 기업의 경쟁력 약화로 인한 소비 지출 감소가 불가피합니다.

정부는 올해 경제성장률이 3.1%, 소비자물가가 2.2%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예상은 유가가 배럴당 73달러로 유지된다는 가정에 기반합니다. 유가가 오르면 성장률은 떨어지고 물가는 오른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유가가 배럴당 120달러에 이르면 경제성장률은 0.4%p 하락하고 소비자물가는 1.4%p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유가가 더 오르면 그 효과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주 경제가 회복의 길에 있다고 순진하게 말했다. 5년 만에 열린 물가장관회의에서도 유류세 인하 연장, 가격 인상 자제 등 선제적인 해법은 나오지 않았다.

위기의 진앙지가 2위의 석유 수출국인 러시아이고, 1970년대의 1·2차 오일쇼크와 달리 강대국 간의 장기 대결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상황은 더욱 우려된다. 일부 전문가에 따르면 오미크론 변수의 유행 외에도 한국은 이미 인플레이션과 스태그네이션이 동시에 발생하는 스태그플레이션 문턱에 진입했다. 오일쇼크가 임박한 상황에서 정부가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국가는 재정 및 통화 정책뿐만 아니라 비상 에너지 수급 계획, 소비 절감 전략, 기업 및 개인 지원 조치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조치가 필요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북한, 코로나19 감염자 없어 예방접종 꺼려: WHO

세계보건기구(WHO)는 수요일 주간 코로나19 상황보고에서 북한이 약 3만60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검사를 했지만…

폭우 후 한국의 홍수와 산사태

강한 몬순 비가 한국을 휩쓸고 있다고 관리들이 토요일 말했습니다. 집들이 파괴되고, 나무가…

한국, COVID-19 백신의 주요 생산국이 되기 위해 거의 20억 달러 약속

2021년 5월 21일 미국 워싱턴에서 문재인 한국 대통령. REUTERS/Sarah Selebiger/파일 사진 서울…

한국의 더글라스 맥아더 장군 동상이 소수의 시위대를 화나게 했다.

안 의원은 인근 자택에서 인터뷰에서 “맥아더는 우리 국민의 적”이라고 말했다. 서울에서 서쪽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