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제조업, 25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목요일 부산항에 컨테이너들이 쌓여 있다. [NEWS1]

2023년 한국 제조업 생산량은 업계 디플레이션 사이클에 따른 반도체 수요 감소로 인해 25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고, 지난해 금리 상승, 인플레이션 압력, 수요 둔화 우려 등으로 소매판매와 투자도 감소했다. 지역.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전체 산업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0.7% 증가해 3년 연속 증가했지만, 증가율은 2022년 4.6%에서 둔화됐다.

지난해 서비스 부문 생산량이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하면서 이러한 증가세가 나타났다.

그러나 제조업 부문 생산은 3.9% 감소해 1998년(6.5%) 이후 가장 큰 감소폭을 기록했다. 한국은 1997~1998년 외환위기를 겪었다.

하락세는 주로 반도체 수요 부진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2023년 칩 생산량은 5.3% 감소해 2001년 이후 처음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

민간소비 지표인 소매판매는 물가 상승 압력으로 식품 등 비내구재 판매가 감소하는 등 지난해 전년 동기 대비 1.4% 감소했다.

이는 2003년 3.2%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2023년에는 부동산 경기 침체로 시설투자도 5.5% 감소해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이는 4년 만에 가장 큰 감소폭이다.

12월에만 산업생산이 월간 기준으로 0.3% 증가해 두 번째 월간 증가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생산량은 1.1% 증가했으며, 반도체 부문은 수요 증가로 생산량이 53.3% 증가했다.

반도체 업계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변화의 조짐을 보였다.

그러나 12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8% 감소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2.2% 감소했다.

자료에 따르면 설비투자는 월간 기준으로는 5.5% 증가했지만, 연간 기준으로는 5.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한국 경제는 1.4% 성장해 전년(2.6%)보다 둔화됐다.

글 김주연, 연합 [[email protected]]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GT 보이스: 중국과 한국이 외부 압력에 맞서기 위해서는 무역 관계를 심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국과 한국 사진:VCG 중국과 한국은 복잡한 지정학적 압력 속에서, 특히 미국이 중국과의…

한국GM, 2025년까지 전기차 10대 출시, 생산은 하지 않는다

한국GM은 ‘플랫폼 이노베이터’로 거듭나기 위해 경쟁력과 수익성에 집중해 비즈니스 모델을 활성화할 예정이다.…

중국인과 북한이탈주민, 한국에서 어려움에 직면 | 세계주의

GUANGYANG, South Korea (Associated Press) – 조국경은 세 나라에 버림받았다는 느낌을 받은…

대한항공: ERP 벤더 유지보수 재평가 및 비용 최적화

Global Airlines는 지원 절감 및 IT 리소스를 전략적 비즈니스 및 인프라 이니셔티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