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집권 여당 관영 노동신문은 이달부터 사진에 워터마크를 추가하기 시작했다. 소식통은 이 조치가 당 선전선동부가 제안한 것으로 최근 김정은 위원장이 승인했다고 전했다.

평양에 기반을 둔 소식통은 금요일 저작권을 홍보하기 위해 이미지에 워터마크가 추가되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가 지난달 초 제안서를 제출해 1호 승인을 받았다”고 말했다.

‘제1공인’이란 김정은에게 보고한 사항으로 김정은의 직접적인 동의를 받은 것을 말한다.

김 위원장 집권 이후 북한은 ‘지식경제시대’를 강조해왔다. 국가는 저작권 보호를 위한 더 나은 시스템을 요구하는 것으로 대응했고 2019년에는 지적 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해 새로운 행정 조직인 “지식재산청”을 만들었습니다.

이 워터마크는 컴퓨터 화면, 휴대폰 등에 표시되는 노동신문의 디지털 버전에만 추가되는 것이라고 소식통은 전했다.

그는 “우체국을 통해 당 비서와 인민위원회 서기들에게 보내는 종이판에는 워터마크가 붙지 않았다”고 말했다.

북한 주민들은 스마트폰 앱으로 노동신문을 읽을 수 있다. 해킹 및 배포가 비교적 쉬운 웹 및 모바일 디지털 버전의 이미지에만 워터마크가 추가된 것으로 보입니다.

또 주목해야 할 점은 김 위원장의 사진이나 김 위원장이 참석한 행사에는 워터마크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소식통은 “당의 통일사상제도 구축과 당의 영상물·기록물 관리에 관한 10대 원칙이 이 기준을 따르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당국은 김 위원장의 영상물, 김 위원장과 함께한 영상, 이와 유사한 사진에 워터마크를 두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러한 사진이나 영상은 김씨가 등장하는 영상이나 기록 보관소에 대한 별도의 관리 기준을 따른다고 말했다.

이어 “김 위원장이 참석한 회의의 경우 일반 간부만 나와도 당국이 사진에 워터마크를 넣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북한은 원칙적으로 “노동당의 력사에 기록될 수령님의 혁명력사와 공적을 기리기 위한” 연설과 결의문을 개회하는 연설과 결의안을 강령 문서로 종교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사실,이 모든 것은 국가의 최고 지도자에게 개인적으로 귀속됩니다.

또한 최고령도자님이 등장하는 사진은 이 원칙에 따라 워터마크를 받지 않습니다.

READ  연준 테이퍼링, 금리인상·버블 붕괴 대비 필요: 동아일보

또한 컴퓨터 아이콘은 북한 웹사이트에서 김 위원장의 사진에 “표시”되었습니다.

이제 Kim 사진 위로 마우스를 가져가면 커서가 사라집니다. Kim이 없는 사진 위로 마우스를 드래그하면 평소와 같이 커서가 나타납니다.

말 그대로 사람들이 김씨의 얼굴이나 모양을 마우스 포인터로 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적 조치다.

데이비드 블랙 옮김. 로버트 롤러 편집.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이나 질문은 [email protected]으로 보내주세요.

한국어로 읽기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월스트리트 랠리에도 불구하고 아시아 증시는 혼조세

베이징 수요일 아시아 증시는 미국 경제가 예상보다 나아졌다는 낙관론에 힘입어 미 증시가…

글로벌 경제 충격으로 항공화물 수요 감소 시작

2020년 12월 10일 이스라엘 로드 벤구리온 국제공항의 Israel Aerospace Industries 현장에서 화물기로…

한국의 신규 건물 수주 13년 만에 최고

한국 조선사 수주 13년 만에 최고 작성일: 2021년 7월 12일 오후 5:01…

Make My Day 이니셔티브는 기업가에게 더 나은 미래를 위한 힘을 실어줍니다.

Makati Bel Air 로타리클럽, GCI Makati Princess Urduja, Business Network International Distingu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