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립 골드버그 당시 콜롬비아 주재 미국 대사가 2021년 2월 8일 콜롬비아 보고타에서 베네수엘라 이민자에 대한 임시 보호를 위한 법적 지위 부여 발표에서 연설하고 있다. REUTERS/Luisa Gonzalez/File Photo

지금 등록하면 Reuters.com에 무료로 무제한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전직 외교관이자 대북 제재 강화를 담당한 전직 관리인 필립 골드버그(Philip Goldberg)를 주한 대사로 지명한다고 백악관이 밝혔다.

Goldberg는 2019년부터 콜롬비아 대사로, 그 전에는 쿠바 주재 대사, 필리핀 및 볼리비아 대사 등 여러 직책을 역임했습니다.

Goldberg는 또한 2009년부터 2010년까지 북한의 핵무기와 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한 유엔 제재 이행을 위한 조정관을 역임했습니다.

지금 등록하면 Reuters.com에 무료로 무제한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로이터는 지난달 골드버그를 지명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그는 지난 2021년 1월 바이든 전 부통령이 집권하면서 사임한 해리 해리스 전 주한 한국 대사 이후 1년 넘게 미국의 주요 동맹 중 한 명으로 주한미국대사를 역임했다.

한국과 미국은 동맹이 “철로 싸여있다”고 주장하지만, 대북 경제 교류를 확대하려는 문재인 대통령의 열망을 차단했기 때문에 제재가 논란의 원인이 되어 왔다.

해리스의 임기는 당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 주둔한 약 28,500명의 미군을 지원하기 위해 수십억 달러를 추가로 지불하도록 압력을 가하면서 동맹의 긴장으로 특징지어졌다. 반면 한국은 강력한 제재를 가하라는 미국의 압력에 분개했다.

상원 청문회를 앞두고 있는 골드버그의 지명은 오랫동안 미국과 국제사회의 제재 완화를 모색해온 북한의 일련의 미사일 시험발사를 둘러싸고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시기에 나온 것이다.

이번 시험에는 2017년 이후 첫 중거리 탄도미사일이 포함돼 북한이 그해 이후 처음으로 ICBM과 핵폭탄 시험을 재개할 수 있다는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바이든 행정부는 북한이 핵무기 프로그램을 포기하도록 설득하기 위해 대화에 복귀할 것을 거듭 촉구했지만 북한은 미국이 적대 정책을 포기하지 않는 한 더 이상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David Brunstrom이 보고합니다. 산드라 말러 편집

우리의 기준: Thomson Reuters 신뢰 원칙.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북한, 군용 헬리콥터로 홍수 피해 수천명 구출 | 홍수 소식

김정은 위원장이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최근 집중호우에 대비하고 대응하지 못한 일군들을 질책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트럼프의 주도에 따라 북한 여행에 대한 미국 여권 금지 연장

AP통신은 바이든 행정부가 미국 여권의 여행 금지령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라고도 불리는 고립된 북한으로 연장함으로써…

OSC Korea, Evergent와 협력하여 OTT 성장 주도

서울, 대한민국, August 16, 2022 (GLOBE NEWSWIRE) – 한국의 선도적인 ICT 솔루션…

22세 K팝 봤다는 이유로 북한에서 살해됐다

한국 정부는 22세 남성이 K팝 음악과 한국 영화에 참여하고 청취했다는 이유로 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