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충돌 속에서 한국은 19세기의 실패를 기억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조언한다.

제14회 학현장학상 수상자 이재민 연세대 명예교수가 2024년 4월 29일 서울 마포구 한겨레사옥을 방문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신소영/한겨레 )

“19세기 말 조선이 실패한 이유는 지정학에 대한 무지, 국가의 취약한 군사력, 내부 분열의 심각성이었습니다. “현재 한국은 지정학적 이해와 군사력 측면에서 더 나은 성과를 보이고 있지만, 정치체제는 여전히 내부 결속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씨(74)는 지난 21일 서울 마포구 중덕동에서 한겨레 경제사회연구원과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오늘날 한국은 미국과 중국이라는 두 강대국이 패권을 놓고 경쟁하면서 국제관계의 급격한 변화에 직면해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이는 14세기 원나라에서 명나라로의 전환과 조선 건국, 17세기에는 명에서 청나라로의 전환과 청나라의 대한침략에 비유할 수 있으며, 한국에 대한 공격성. “두 번째와 세 번째 사례의 실패로부터 우리가 배워야 할 교훈이 있습니다.”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이씨는 수상 경력이 있는 저서 ‘한국 경제 개발의 구불구불한 길'(The Winding Road of Economic Development in South Korea)에서 영어로 출판되었으며, 전통 사회에서 현재 상태에 이르기까지 한국 경제의 변화와 발전을 분석하고 평가합니다.

그는 “경제발전은 경제분석만으로는 이해될 수 없으며 역사, 정치, 사회학 등 다른 분야를 아우르는 학제간 접근이 매우 중요하다”며 “경제발전 과정을 변화의 관점에서 설명하려고 했다”고 말했다. “정치적, 역사적 문제지만 제대로 이해하기가 매우 어려웠습니다.”

심사위원들은 이 책이 수상작으로 선정된 이유에 대해 “장기적 경제 발전에 관한 세계적 학술 담론의 틀 속에서 한국의 경제 발전을 해석한 것이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평가했다.

장기적인 경제 발전에 관한 주요 연구 주제 중 하나는 현대에 들어 유럽과 아시아 간의 격차가 커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시카고 대학의 교수이자 중국 역사의 선도적인 전문가인 케네스 포메란츠(Kenneth Pomeranz)는 이러한 격차를 “큰 차이”라고 표현했습니다.

이 대표는 20세기 이후 한국과 중국 등 동아시아 국가들이 경험한 경제 호황에 초점을 맞춰 ‘대수렴’ 개념을 제시하며 화답했다.

READ  호주에는 과학자와 예술 졸업생이 주도하는 '지식 경제'가 필요합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 대표는 “유럽 식민지 시절 항복한 많은 나라 가운데 선진국으로 변모할 수 있었던 유일한 나라는 한국”이라며 “중국도 ‘대수렴’의 일부로 보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책을 썼습니다. “수세기에 걸친 서구의 지속적인 지배를 역전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것이 내가 한국의 경제 발전을 연구하려는 맥락입니다.”

이재민 연세대 경제학과 명예교수.  (신수영/한겨레)

이재민 연세대 경제학과 명예교수. (신수영/한겨레)

조선이 산업화 초기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못하고 식민주의의 멍에를 짊어진 상황에서, 한국은 어떻게 1960년대부터 급속한 성장을 이룰 수 있었는가? 이명박은 일본 식민주의자들이 남긴 산업적 전문성과 인프라 외에도 한국의 경제 체제가 1950년대 냉전이 성숙해지면서 대부분의 신생 독립 국가들의 경제 체제와 다르다는 점도 지적했습니다.

이들 신생국가들 대부분은 사회주의나 제3세계 민족주의를 추구하여 경제발전에 실패했지만, 한국은 자본주의의 길을 따랐다. 박정희가 집권해 국가역량을 강화해 급속한 성장의 기반을 마련하고 정책의 효율성을 높였던 상황이 바로 이런 상황이었다.

그러나 이 총리는 이러한 성장에는 “일제식민지와 한반도의 분단과 전쟁, 박정희의 권위주의적 통치 등 어두운 면”이 있기 때문에 “균형잡힌 시각이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급속한 성장을 이룩하는 것조차 어려운데, 한국은 일련의 위기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이를 유지할 수 있었는가? Li는 거시경제 관리, 구조적 변혁, 사회 갈등 관리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성공이 중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회장은 거시경제 관리의 예로 한국이 1979년에 발생한 심각한 위기에 대처한 사례를 들었다. 당시 한국은 에너지 가격 상승과 박근혜 암살, 물가 불안정과 외채 등 고질적인 문제에 직면했다. 부터. 60년대.

1979년 위기는 1997년 외환위기보다 훨씬 심각했지만 전두환 대통령은 이를 쉽게 대처했다. 리 총리는 “경제 전문가들의 일관된 조치를 통해 물가가 안정됐고, 일본의 40억 달러 차관을 통해 외채 위기도 해결됐다”고 말했다.

일본이 차관 제공에 반대하자 한국은 일본이 무임승차를 받는데 한국이 냉전 최전선에서 국방비 부담을 너무 많이 부담하고 있다고 미국 레이건 행정부에 불만을 토로했다. 이로 인해 미국은 일본에 압력을 가하게 되었다.

READ  1인 가구는 주택과 유틸리티에 가장 많이 지출

이 교수는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를 한국이 1979년 위기와 마찬가지로 국제정세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한 탓으로 돌렸다.

“외환위기는 일본 은행들이 내부 사정으로 인해 갑자기 한국 은행에 단기 대출을 요청했기 때문에 발생했습니다. 위기 이후 일본은 위기에 처한 한국과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을 돕기 위해 ‘아시아 통화 기금’ 설치를 제안했습니다. 그러나 이 아이디어는 반대됐다”고 이씨는 말했다.

“미국에 대한 반대는 냉전 종식 이후 미국 경제의 주도권이 금융 부문으로 옮겨가면서 미국의 패권 성격이 바뀌었기 때문인데, 이는 한국이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문제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윤석열 대통령의 경제정책에 대해 “물가 불안에 대처하기 위해 긴축 재정정책이 필요하고 재정 부문에서는 지출을 삭감하고 증세하는 긴축 정책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현 상황에서 감세는 적절하지 않고 성장으로 이어지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씨는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버드대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개발경제학회 회장,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 등을 역임하며 문재인 정부에 정책 자문을 제공했다.

곽종수 한겨레경제사회연구소 선임연구원

질문이나 의견은 다음 주소로 보내주세요. [[email protected]]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배터리 제조업체는 백악관에 ITC 무역 비밀 명령을 포기할 것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역무역위원회 (Reverse Trade Commission)의 결정으로 조지아 공장이 위협을 받고있는 EV 배터리 제조업체는…

한국은 사우디 최초의 원자력 발전소를 짓고 싶어합니다.

아랍에미리트의 바라카 원자력 발전소. 우리나라가 해외에서 건설한 최초이자 유일한 원전이다. 현재 한국은…

윤 총재, 트럭운전사 파업 단속 경고

서울 (로이터) – 한국의 윤석열 대통령은 트럭 운전사들의 전국적인 파업을 해산하기 위해…

블랙으로 알려진 것으로 알려진 레이첼 돌 레잘, 레이싱을 ‘움직이는’TikTokker를 방어

Dolezal은 런던을 옹호하면서 “개인적 정체성”에 대해 더 많은 “공감과 친절”을 요구했습니다. R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