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해외 서비스 견제 위해 국내 OTT 서비스 통합
[Gettyimages Bank]

국내 프리미엄 동영상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 사업자인 티빙(Tving)과 웨이브(Wavve)가 세계 최대 넷플릭스를 비롯한 해외 서비스를 견제하기 위해 두 서비스를 통합하는 방안을 논의해왔다. 다국적 엔터테인먼트·미디어 기업 디즈니가 운영하는 더톱(OTT) 서비스 디즈니+.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2022년 19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국내 OTT 서비스 시장은 세계 최대 OTT 사업자인 넷플릭스가 38.2%의 시장점유율로 주도하고 있다. 웨이브는 시장점유율 14.3%로 3위를 차지했다.

‘오징어 게임’, ‘더 글로리’, ‘킹덤’ 등 한국 드라마 콘텐츠가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반면, 넷플릭스를 비롯한 국내 OTT 서비스를 통해 공개되는 드라마 시리즈는 전 세계 시청자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편, 아마존의 한국 상대인 쿠팡은 라이브 코미디 쇼, 야외 스포츠 이벤트 스트리밍 콘텐츠 등 국내 OTT 틈새시장을 공략해 강력한 OTT 시청률을 확보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국내 OTT 서비스 티빙(Tving)과 웨이브(Wavve)가 두 회사의 합병을 논의 중이다. 티빙은 CJ그룹 엔터테인먼트 계열사인 CJ ENM이 운영하고, 웨이브는 SK그룹 서비스 계열사인 SK스퀘어가 운영하고 있다. Tving은 2023년 8월 기준 월간 활성 사용자(MAU)가 약 540만 명인 반면, Wavve는 약 440만 명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해외 서비스 견제를 위해 국내 OTT 서비스를 통합한다는 소문이 돌았으나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협상이 긍정적인 결과를 낳을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CJ ENM 관계자는 익명을 전제로 “티빙과 웨이브는 OTT 서비스 사업자로서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 등 다양한 각도에서 협력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SK스퀘어 관계자는 “두 회사의 합병에 대해 아직 결정된 바는 없지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각도로 협력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 아주경제신문 & www.ajunews.com 저작권: 본 사이트의 모든 자료는 아주뉴스의 허가 없이 복제, 배포, 전송, 전시, 출판, 방송될 수 없습니다.

READ  한국, 11년 만에 GDP 순위 14위로 추락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리포트, 오토 뉴스, ET Auto

한국은 2010년 이후 세계에서 로봇 밀도가 가장 높은 국가입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쿠팡 창립자 억만 장자, IPO 이후 부가 6 배 이상 증가

전자 상거래 대기업 쿠팡의 창업자 인 김봄은 2010 년 회사를 설립했다. 김재현…

한국 경제는 더 이상 중국의 지원을 받지 못한다: 한은 총재

대한민국 상업의 중심지 부산항. (뉴스1 제공) 한국 중앙 은행 총재는 월요일 중국…

한국 대통령, 성스러운 순방 준비 | 소식

윤석열 한국 대통령은 케임브리지 지역에서 정차하고 “자유의 도전”에 대한 연설과 함께 생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