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2023년과 2024년 한국의 잠재성장률을 각각 1.9%, 1.7%로 전망했다. 잠재성장률은 한 국가가 인플레이션 등 부작용 없이 모든 노동과 자본을 동원해 성장을 이룰 수 있는 한계를 뜻한다. 국제기구가 한국의 잠재성장률을 2% 미만으로 전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024년 전망치는 미국 성장률 1.9%보다 훨씬 낮다. 주요 7개국 중 캐나다, 이탈리아, 영국 등 한국보다 잠재성장률이 낮은 것으로 평가된 국가에서는 잠재성장률이 반등해 한국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였다.
설상가상으로, 무역 중심의 경제 시스템은 더욱 어려운 외부 효과에 직면해 있습니다. 한국의 양대 무역 상대국인 중국과 미국이 패권 다툼을 벌이면서 자유무역 체제가 흔들리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 선진국들이 서로 교역을 줄이면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이 약 4%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과 중국이 모든 국가에 대해 무역장벽을 강화하면 한국의 GDP는 10% 더 하락해 중국의 6.9%보다 더 큰 피해를 입게 된다.
한국경제의 펀더멘탈 상실은 예견된 위기였다.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성장률은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해 5년마다 1%포인트씩 감소하고 있다. 낮은 생산성을 높이는 노동과 교육의 구조개혁은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한국의 엄격한 규제와 지역 이익단체의 반대, 의료·금융 등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으로 인해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되지 못하고 있다. 외부 환경이 악화되면서 양질의 제조업 일자리가 급속히 사라지고 있다.
반도체, 스마트폰, 자동차 등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소수의 대기업과 제한된 수출 품목에 의존하는 성장 전략은 더 이상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창의적인 규제와 적극적인 이민 정책을 통해 잠재력을 되찾은 선진국과 비교하여 경제 지도를 다시 그려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