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내 한국 기업들은 중국 경제가 2년여 만에 최저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매출 부진과 시황 악화가 예상된다.
한국산업경제연구원(KIET)에 따르면 중국에서 활동하는 211개 한국 기업의 기업실태조사(BSI)가 2분기 연속 시황과 매출 모두 하락했다.
BSI 수치가 100 이상이면 기업이 특정 지역이 개선되거나 증가했다고 응답한 것을 의미하고, BSI 수치가 100 미만이면 해당 지역의 상황이 악화되거나 감소했다고 응답한 기업을 의미한다.
시황은 64개, 판매는 76개로 2020년 2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전자제품을 제외한 대부분의 업종은 중소·중견기업이 매출 급감을 보였다.
경영환경지수(54)는 2020년 1분기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고, 내수판매는 2분기 연속 하락(76)했다.
기업의 약 22%는 현지 시장에서의 수요 부족이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혔고, 이어 원자재 수급 문제, 수출 감소 등을 꼽았다.
7월 15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0.4%에 그쳤다.
이는 1분기 4.8%에서 크게 떨어진 것이다.
위축된 시장 경제와 코로나19 봉쇄가 한 원인이었다.
KIET에 따르면 10개 기업 중 8개 기업이 팬데믹에 대응했고 중국 사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공급망 폐쇄 및 중단이 부정적인 반응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조철 경제연구원 연구원은 “예전에는 중국이 전염병의 영향을 피할 수 있었지만 올해 봉쇄 등 다른 전염병 정책으로 중국 경제 활동이 위축됐다”고 말했다.
“글로벌 수요가 감소하면서 중국 경제가 작년과 작년만큼 빨리 회복되기 어려울 것입니다.”
한국의 대중 수출 의존도가 높아 국내 기업들이 큰 위기에 처해 있다.
중국은 지난해 중국 전체 수출액의 25.3%를 차지했다.
애널리스트들은 국내 기업들이 앞으로 중국에서 사업을 영위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것이고 무역적자는 더욱 악화될 것이라고 말한다.
6월까지 이어진 5월 중국 수출 물량은 28년 만에 처음으로 적자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5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GDP 성장률이 1% 하락하면 총수출은 0.34%p 하락했다. 한국에서는.
3분기에는 시장 여건과 매출이 100을 상회한다는 기대에도 불구하고 장비투자는 99, 경영환경은 94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저우 교수는 “자동차 등 내수 수요가 어느 정도 있는 산업도 중국 내 생산량 급감으로 중소기업이 함께 중국 시장에 진출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앞으로 한국 기업들이 중국에서 사업을 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중국으로의 수출 적자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인하대 국제통상학과 정인규 교수는 “수출이 계속 등락을 거듭해 적자 상황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중국 경제는 아직 바닥을 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김정식 명예회장은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2분기에 바닥을 쳤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앞으로도 중국이 코로나19 대유행의 재확산으로 봉쇄조치를 계속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 2분기 경제성장률이 바닥을 쳤다고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교수.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전 세계적으로 시장경제가 위축되면서 중국의 수출이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현 상황에서 탈피하기 어려울 것이다.
우리의 중국 수출 물량이 많기 때문에 한국 경제는 분명히 영향을 받을 것입니다.
따라서 정부는 현재 시장을 다변화하고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점차 낮추고 통화 및 금리와 같은 효과적인 재정 조치를 취하여 현재의 무역적자를 흑자로 전환해야 합니다.
by 정종훈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