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14 08:00
[INTERVIEW] “한국에 가면 남한처럼 하라”
김홍균 트럭운송회사 에스피운송 창업자 / 한국하나재단 제공 |
이것은 탈북자들과 그들의 남한 동화에 대한 일련의 인터뷰 중 다섯 번째 편이다.
자수성가한 사업가는 동료 탈북자들에게 성공하고 싶다면 그곳에서 어울리고 남한 사람처럼 생각하라고 충고한다.
강현경 작사
김홍균은 말 그대로 “사막 사람들에게 모래를 팔아 먹고 살 수 있는” 사람인 것 같다. 한국인들은 뛰어난 사업과 생존 기술을 가진 사람들을 지칭할 때 “사막의 모래밭에서 장사를 한다”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사막에는 모래가 너무 많아서 모래를 팔아 생계를 꾸릴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항상 그렇듯이, 뛰어난 비즈니스 감각을 가진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 무시하는 영역에서 기회를 포착합니다. 지칠 줄 모르는 노력과 포기하지 않는 자세로 그들은 처음에는 불가능해 보였던 일들을 해냈습니다.
김모(59)가 그런 사람이다. 삼림 관리원으로 북한을 떠나 러시아로 건너간 지 11년 만인 2001년 한국에 도착했을 때 그는 트럭 회사에서 사업 기회를 보았다.
한국에 도착한 지 20년이 지난 지금, 탈북자는 번창하는 트럭 회사인 SP Transport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온 4명의 트럭 운전사를 고용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매일 25톤 트럭에 실린 상품을 전국으로 배달합니다.
힘든 시간입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유가 급등은 그의 사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김씨는 자신의 일에 자신감을 보였다.
그는 최근 코리아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이러한 위험은 관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매출은 거의 비슷하지만 고유가로 인해 이익이 줄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 사업은 이전보다 적은 마진이지만 여전히 수익성이 있습니다. 다른 사업과 마찬가지로 항공사도 기복이 있으며 우리는 힘든 시간을 통해.”
김씨는 창업을 위한 종잣돈을 마련하기 위해 알바와 정규직을 전전하다가 15년 전 자신의 운송회사를 차렸다.
아내가 남편의 빚을 은행에 갚기 위해 저축한 돈을 써야 할 정도로 화가 난 적도 있었다. 사업 초기에 그는 한국의 세무 및 감사 시스템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신뢰할 수 있는 세무사를 찾기 위해 노력했다고 말했습니다.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그의 사업은 이제 안정적입니다.
그의 회사의 트럭 운전사는 모두 한국인이다. 탈북자도 이주노동자도 없다. 그는 또한 경험 많은 운전자를 고용하지 않았습니다. 그가 고용한 모든 트럭 운전사는 이전에 트럭 운전 경험이 없는 사람들입니다.
“내 고용 관행을 잘 아는 사람들은 내가 미쳤다고 말했습니다. 당시 내가 처음으로 트럭 운송 고용주였기 때문에 일하는 방법을 아는 경험 많은 트럭 운전사를 고용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그러나 나는 그들의 조언을 따르지 않았습니다. 트럭 운전사들이 경험이 있고 나보다 업계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있다면 그들이 나를 속일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탈북자들을 내쫓는 편파적 채용 정책에 대해 묻자 그는 과거 경험을 통해 그들이 트럭 회사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그가 만난 대부분의 북한 사람들은 몽상가였다고 그는 몇 년 동안 러시아에서 북한 노동자들과 함께 일한 경험을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그는 4, 5명의 탈북자들과 동업자로 중국에서 휴대전화 관련 사업을 시작했는데, 그곳에서 불법체류자였기 때문에 불법이었다.
무엇보다 의무적응 프로그램에 참가한 그가 남한에서 처음 3개월 동안 탈북자들을 위한 정착센터인 하나원에서 만난 탈북자들과의 만남은 그의 부정적인 인상을 형성하는 데 결정적이었다.
“어떤 분은 북한에서 공부했다고 자랑하고, 어떤 분은 장차 사업 계획을 세세하게 얘기했는데 제가 생각하기에 세세하게 부족해서 실패할 확률이 높았어요. 너무 순진했어요. 남쪽”이라고 말했다.
자본주의 남한에 적응하려면 탈북자들이 남한 사람처럼 생각하고 남한 사람처럼 사업을 해야 한다고 그는 말했다.
그는 “동료 탈북자들에게 남한에서 성공하려면 북한에서 배운 것을 잊어야 한다고 말한다”고 말했다. “직장에서는 남부인들이 무례하다고 불평합니다. 그런 말을 들으면 무시하고 스스로 증명해보라고 합니다. 또한 그들이 누구인지, 무엇을 더 잘할 수 있는지 알아낼 때까지 거기에 있으라고 합니다.” ”
사진 속 김홍균은 자신의 트럭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한국하나재단 제공 |
Kim의 유전자에서 작업하십시오. 이를 통해 한국 사회에 순조롭게 적응할 수 있었다.
그의 어머니는 나중에 북한에서 프랜차이즈 사업이 된 식당을 소유했습니다.
“북한에서는 장사꾼이 존경을 받지 못해서 장사꾼이라거나 자영업을 한다고 하면 장사꾼에 대한 평판이 좋지 않아 상대방이 부정적인 인상을 갖게 됩니다. 1980년대 어머니가 개인식당을 운영하던 시절”. “사람들은 그녀를 ‘스노우비시 부인’이라고 불렀습니다. 그녀는 영향력 있는 사람들과 폭넓은 인맥을 가진 터프한 여성이었습니다.”
어떻게 보면 김씨의 어머니는 시장이 나타나 북한 전역에 퍼지기 20년 전인 80년대에 시작했을 때 선구자였다.
“1980년대 북한이 주최한 국제체육대회의 실패로 북한 경제가 휘청거리던 때였다. 그는 말했다.
김씨는 식당에서 일하던 어머니를 통해 어린 시절부터 비용, 이익, 수입에 대한 생각에 익숙해졌습니다.
Kim의 “국제 경험”은 그의 비즈니스 감각을 연마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는 벌목꾼으로 1990년 5월 러시아 남동부의 하바로프스크 시로 갔다. 그는 러시아에 있는 6년 동안 나무를 베러 산에 간 적이 없다고 말했다. 대신 그는 북한 벌목꾼들에게 먹이기 위해 현지 시장에서 신선한 고기와 채소를 구매하는 계산원 및 구매 담당관으로 일했습니다.
그는 “북한 노동자들이 어떤 식사를 하느냐는 조달 담당자가 누구냐에 달려 있다”며 “러시아 측과 협상을 통해 양질의 고기와 신선한 야채를 구하려고 노력했다”고 말했다.
러시아에 도착한 지 6년 만인 1996년 한국으로 탈출할 목적으로 중국으로 도피했다. 그는 당시 소련이 해체되면서 러시아-중국 국경이 허물어졌다고 말했다. 그는 2001년 한국에 오기 전까지 불법체류자로 중국에서 4년을 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