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국영 조선중앙통신은 2024년 9월 16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가 전날 전체회의를 열고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11차 회의를 개최하기로 결정했다고 보도했다. 2024년 10월 7일. (조선중앙통신/연합)
글 김연철 전 통일부 장관(현 인제대학교 교수)
그러나 북한이 남측 진영(남한과 미국)에 대한 모든 문을 닫고 북측 이웃 국가들에 의존함으로써 이 시련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북한은 지난 10월 최고인민회의에서 헌법 개정 계획을 밝히고, 한반도 통일을 비난하고 한반도에 두 개의 독립된 국가가 존재하는 것을 법적으로 입법화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한국이 분단되기 이전에는 두 국가라는 사상은 강대국에 의해 한반도가 분단된 것을 의미했다. 해양세력과 대륙세력이 충돌하는 완충국가로서 우리는 다시 한 번 비극적인 고통을 겪게 될까요?
분단 이후 두 국가라는 사상은 한국이 두 국가가 전쟁을 한다는 사상에서 결코 자유롭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했다. 끝없는 대결의 악순환에 빠지게 되는 걸까요?
지금 거기에는 북한만이 아니라 북한 경제도 있다.
북한은 중국, 러시아와의 관계를 통해 생존을 확보하려 하고 있다. 그러나 최선의 계산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중국과의 “북방 삼각지대”는 기대했던 것보다 현실적이지 않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러시아와 북한 관계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북한은 군사협력의 대가로 에너지와 식량 지원을 받았고, 러시아에 인력을 파견하는 프로그램도 강화했다. 그러나 전시수요에 따른 북한경제의 호황은 오래가지 못할 것이다. 모든 전쟁은 필연적으로 끝나야 하기 때문이다.
남은 것은 북한과 러시아 극동 지역 간의 제한적인 동맹뿐이다. 국제제재를 무시하며 굳건해진 양국의 연대는 국제무대에서 러시아의 역할이 어떻게 전개되고, 우크라이나 전쟁이 어떻게 마무리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북방삼각지대에서는 북한과 러시아의 관계가 가장 영향력 있는 파트너십으로 보이지만, 북한과 중국의 관계가 가장 중요합니다. 북한과 두 나라의 관계는 근본적으로 다른 협력구조를 갖고 있다. 두 나라의 관계 역시 지리적 차이로 인해 영향권이 다르다.
북한과 중국의 전략적 이해관계는 어떤 면에서는 일치하기도 하고 어떤 면에서는 서로 다르다. 중국은 북한을 미국과의 경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중요한 장벽으로 보고, 북한은 중국을 남측 진영(미국과 한국)으로의 문이 굳건히 유지되는 동안 생존을 도울 수 있는 기증자로 보고 있습니다. 닫은.
그러나 두 나라 사이에는 전략적 차이가 있다. 중국은 미국과 전략적 경쟁을 벌이고 있지만 경쟁 속도를 통제하고 싶어한다. 미국과 마찬가지로 중국도 한반도 상황이 빨리 악화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북핵 문제에 대한 중국의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 북한과의 관계에서 미국의 역할과 미국이 짊어져야 할 책임을 강조할지는 모르지만, 북한의 핵 능력 확산은 지역을 불안정하게 만들 것이기 때문에 지지하지 않는다.
중국은 북한과의 경제협력과 관련해 국제 제재 지침을 준수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코로나19로 인한 봉쇄 조치에도 불구하고 중국과 북한 간 무역이 성장하지 못하는 주된 원인이 바로 여기에 있다.
2024년 상반기 북·중 무역 통계를 보면 북한의 중국산 수입이 여전히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발과 속눈썹 등은 제재 대상이 아닌 몇 안 되는 품목이라는 이유만으로 북한의 중국 수출의 57.9%를 차지한다. 안타깝게도 원재료를 수입해 북한에서 가공한 뒤 다시 수출하는 등 해외 가공 과정에서 제재 대상이 아닌 품목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북-중 관계를 조사할 때, 두 나라의 이익이 어떻게 부합하는지, 부합하지 않는지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적합을 관계의 실수로 해석하기는 쉽지만, 그러한 설명은 더 큰 그림을 보지 못합니다. 북중관계는 앞으로도 한반도 정세에 영향을 받으며 이해관계의 수렴과 차이를 오가며 변동할 것이다.
북한 경제는 무역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제재로 인해 수출이 어려워지고, 북한의 외화벌이가 어려워 수입이 감소하고, 생산이 감소하면서 사이클이 정상화된다. 북-러 관계가 실물경제를 살릴 만큼 외화벌이를 충분히 제공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북한은 흔들리는 경제에 맞서기 위해 반개혁을 선택했다. 시장을 억압하고, 분산화를 철회하고, 중앙 통제를 강화했습니다. 북한은 환율 급등으로 인해 지난 6월 말 노동당 중앙위 제8기 제10차 전원회의에서 재무상을 교체했다. 코로나19 사태가 종식된 후 교역이 재개될 예정이었던 가운데, 극심한 외환적자를 겪으면서도 발생한 과도한 외화 경쟁이 환율 상승으로 이어졌다.
무역이 늘지 않으면 외화가 부족해 북한 원화 가치가 불안정해지고 중앙정부의 경제운영도 어려워진다.
북한은 식량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정부의 공격적인 분배 통제는 유통 왜곡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인도의 경제학자 아마르티아 센(Amartya Sen)이 기근이 식량 가용성의 감소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분배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주장한 것에 의해 설명될 수 있습니다.
북한은 경제적 적자를 관료적 조치로 대응하지만 소용이 없다. 제재로 인해 일반화된 수입 의존도가 높은 전략도 지속 불가능하다. 수입이 어려운 유연탄 대신 북한에 풍부한 갈탄을 사용하는 주체철생산체제와 탄소화합물을 석유제품으로 전환하는 C1화학공업도 비경제적이고 비경제적이다. 무능한.
북한 경제는 북측 이웃에 의존하거나 경제 개혁을 통해서는 살아날 수 없다. 북한은 남측 진영(남한, 미국)과의 협상에서 잠깐 상상했던 번영의 미래를 잊어서는 안 된다.
비록 단기간에 실현될 수는 없더라도 북한이 경제개혁을 이룰 수 있는 국제정치적 환경이 언젠가는 나타날 것이다. 정치 환경이 변해도 외교 관계의 기본 철학은 변하지 않습니다. 창의성은 대화를 통해서만 나올 수 있고, 진보는 열린 문을 통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질문이나 의견은 다음 주소로 보내주세요. [[email protected]]
“요은 베이컨과 알코올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가진 닌자입니다. 그의 탐험적인 성격은 다양한 경험을 통해 대중 문화에 대한 깊은 애정과 지식을 얻게 해주었습니다. 그는 자랑스러운 탐험가로서, 새로운 문화와 경험을 적극적으로 탐구하며, 대중 문화에 대한 그의 열정은 그의 작품 속에서도 느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