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가장 다각화된 엔터테인먼트 기업인 CJ ENM의 연간 실적에 코로나19의 영향이 깊숙이 스며들었다. 영화는 적자를 낸 반면 음악은 기반을 얻었습니다. 마찬가지로 그룹의 스트리밍 사업은 매출이 빠르게 성장했지만 막대한 투자 비용으로 인해 적자를 유지했습니다.

CJ ENM은 2021년 12월 말까지 매출 5% 증가한 3조5500억원, 영업이익 9% 증가한 297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목요일에 규정 제출. 당기순이익은 660억원에서 2280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미디어 부문은 연간 매출 1조7500억원, 영업이익 1665억원을 기록해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스트리밍 서비스 Tving의 유료 가입자 수는 분기 대비 19% 증가했습니다. 회사는 연말 총 구독자 수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스트리머 목표는 2022년 말까지 구독자 400만 명을 추가로 늘리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콘텐츠 생산을 확대하고 시장 점유율을 되찾아 이를 달성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 넷플릭스는 한국 스트리밍 시장의 선두 주자입니다. 디지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0% 증가했다. 하지만 4분기에는 제작비 증가, 편성 확대, 일회성 비용 등으로 영업손실 93억원을 기록했다.

다소 규모가 작은 음악 부문의 연간 매출은 1,800억 원에서 2,820억 원(2억 3,400만 달러)을 기록했다. 지난해 일본에서 첫 싱글 앨범을 발매한 INI와 미니앨범을 발매한 JO1이 괄목할 만한 성과를 냈다. CJ ENM 소속 아티스트 엔하이픈, 조유리, 사운드트랙이 매출을 견인했다. 2022년에는 Kepler와 Enhyphen의 더 많은 앨범이 나올 것입니다.

영화는 코로나19 첫 해와 비교하여도 매출이 감소하여 1,170억 원(9,790만 달러)을 기록하여 1,420억 원 대비 영업 손실을 282억 원(2,300만 달러)을 기록했습니다. 도서관 판매와 해외 프로젝트는 늘었지만 한국 연극계에는 지속적인 문제가 있었다.

올해는 박찬욱 감독의 ‘출연’, 최동훈 감독의 ‘외계인+인간’,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브로커’ 등이 출연한다.

회사 관계자는 올해 전망에 대해 “콘텐츠 경쟁력 강화, 채널 시청 점유율 확대, 유료 가입자 확보 등 시장 점유율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READ  있지(ITZY), 새 EP '체셔(Cheshire)' 티저 영상 공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엔터테인먼트: 2023년의 막이 오르다

이제 방송이 엔터테인먼트 및 미디어 환경의 필수 요소가 되면서 Furtschegger는 가상 회의를…

K-POP 아티스트가 팬들과 채팅하기 위해 사용하는 Fan Favorite V LIVE 서비스 영구 중단

모두를위한 케이팝 팬 여러분, 불행히도, 우리는 약간의 나쁜 소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라이브…

그 백설 공주 노트 애니메이션, 두 번째 비디오에서 7 명의 캐스트 멤버 더 공개-뉴스

TV 애니메이션 두 번째 예고편 마리모 라자와‘에스 백설 공주 노트입니다 (Mashiro no…

한국의 노로농지가 입소문이 난 ‘스시 와플’로 리브랜딩되고 있다.

모든 스시 애호가를 위해, 요리하다 Tik의 톡 좋아하는 요리를 즐기는 최신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