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통은 소식통에 따르면 지난해 코로나바이러스 공포로 국경이 폐쇄되었을 때 북한에 발이 묶인 화교들은 평양의 귀국을 허용했지만, 2023년 말 이전에는 은둔 국가로 돌아가지 않겠다고 약속한 후에야 겨우 귀국했다고 소식통들이 전했다.
2020년 1월 팬데믹의 시작과 함께 중국과 북한의 국경이 폐쇄되고 모든 여행과 무역이 중단되면서 중국에 크게 의존하는 북한 경제가 황폐화되었습니다. 무역이 말랐고, 원자재 부족으로 공장이 문을 닫았고, 부족이 늘어나면서 식량 가격이 급격히 뛰었다.
한국말로 ‘화규’라고 불리는 화교는 지난 7월 14일 중국으로 출국이 허가돼 재빨리 출국했지만, 귀국하지 않겠다는 서약서에 서명해야 했다.
자유아시아방송 관계자는 “화규가 북한을 떠날 때 2023년 말까지 북한에 돌아가지 않겠다는 약속을 했다”는 조건으로 귀국한 한 귀국자와의 대화를 인용해 전했다. 익명에서.
소식통은 많은 중국인들이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 사업상 북한을 정기적으로 오갔다가 국경이 폐쇄되면서 실업 상태가 되고 가족과 격리됐다고 전했다.
그는 북한에 발이 묶인 화규 일가는 중국에 있는 친척들로부터 생활비도 받지 못하고 가족들의 장례식에도 참석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소식통은 “그래서 북한 당국에 출국 허가를 요청했고, 당국은 일정 기간 북한에 돌아오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허락했다”고 말했다.
지난 7월, RFA의 한국 서비스는 지난 몇 달 동안 북한의 도시인 원산과 청진에서 중국계 탈북자 3명이 심각한 코로나바이러스 제한 하에서 기아로 사망했다고 보고했다.
국경은 폐쇄 상태로 유지될 수 있습니다.
서울의 분석가들은 중국에서 COVID-19의 확산으로 상황이 개선되지 않아 북한과 중국의 국경이 당분간 폐쇄된 상태가 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조한범 민족통일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국경이 8월에 열린다는 소문이 있었지만 그 가능성은 항상 매우 낮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북한이 여전히 위기를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조 국장은 “평양은 2020년 1월부터 외국인의 북한 입국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며 “중국 접경 도시인 단둥에서 숨진 북한 사업가의 시신이 아직 단둥병원 냉동고에 보관돼 있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화교는 이제 중국으로 떠났지만 전염병이 끝날 때까지는 북한으로 돌아갈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위그노들이 이를 깨닫고 돌아오지 않겠다고 약속한 후에야 나라를 떠났을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검토 중인 거래 이력서
통일부도 자유아시아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접경지역인 신의주와 여주, 남포항에 검역시설을 유지하고 수입소독을 실시하고 있어 양국 간 교역 재개 방안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법.
외교부 관계자는 아직까지 실질적인 국경 개방에 대한 진전은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국경을 따라 동향을 주시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변화가 없다”며 “국제 제재가 금지되지 않은 비료와 농기구 등 일부 물품이 해상으로 운송되고 있지만 전혀 보이지 않았다”고 말했다. 오는 길. 육로.
북한에 거주하는 수천 명의 중국인은 최근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온 이민자가 아닙니다. 그들 대부분은 중화민국(ROC)이 중국 본토를 장악할 즈음이나 중국 내전(1927-1949) 중에 한반도에 들어왔습니다.
자유아시아방송은 7월 중순 북한 신의주에서 압록강을 건너 중국 접경 도시인 단둥에 버스로 약 90명의 화규가 도착했다고 보도했다.
RFA의 한국 서비스에 대한 목용재의 보고. 신진하 옮김. Richard Finney가 영어로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