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는 빚이 많다.
한국경제는 빚이 많다.


한국의 가계와 기업이 지고 있는 부채 규모는 한국 GDP의 2배가 넘습니다. 국내 기업의 절반 가량은 매각으로 벌어들인 돈으로 빚에 대한 이자를 갚지도 못해 이들의 약점을 드러냈다.


3월 28일 발표된 한국은행 금융안정상황보고서에 따르면, 명목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신용레버리지)은 2023년 4분기 기준 224.9%에 달했다. 한국 명목GDP의 2.25배에 달했다.


이 비율은 2023년 2분기(225.7%)와 3분기(225.6%) 사상 최고 수준에 비해 소폭 하락한 반면, 부채는 한국 GDP의 2배 이상을 유지했다.


부문별로 보면 우리나라의 명목GDP 대비 가계신용 비율은 100.6%이다. 이는 전 분기(101.5%)보다 약 1%포인트 정도 감소한 수치이다.


반면, 한국의 기업신용비율은 124.3%로 전분기 124.1%보다 상승했다. 1975년 이후 집계된 장기 추세선보다도 5.0%포인트 높다.


가계신용, 즉 가계대출 수준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주택담보대출의 증가세는 지속되었으나 그 속도는 둔화되었다.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은 계속 감소했는데, 이는 가계가 부채를 재조정하면서 주택담보대출만 계속 증가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023년 4분기 가계대출 총액은 188조6400억원에 달했다. 주택대출 규모는 분기별로는 0.4%, 연간으로는 1.0% 증가했다.


2023년 4분기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신용 비율은 159.2%였다. 대출은 가처분소득보다 1.6배 많아 가계소득 기준치를 초과했다.


기업의 신용잔액은 2023년 4분기 기준 278조1천억원에 이르렀다. 전체적으로 4분기 연체율(1.65%)은 장기 평균(2009~2019년 1.81%)보다 낮았으나, 상승세.. 이러한 추세는 비은행 기업과 중소기업에 집중되었습니다.


4분기 비은행 기업대출 연체율은 4.07%였다. 이는 금융업 전체 평균(1.65%)을 훨씬 웃도는 수준이다.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1.93%로 전체 평균(1.65%)보다 높았다.


대출이 증가한 반면, 기업 수익성과 안정성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는 하락했습니다. 2023년 3분기 기업 영업이익률은 2.5%, 매출 성장률은 -4.0%로 분기별 하락세로 전환됐다.


기업의 이자보상배율은 1.6배로, 부실기업의 44.4%는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이어서 이자를 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반에 가까운 기업은 돈을 벌어도 빚에 대한 이자를 갚지 못했다.

READ  Grocers have a strategy to vaccinate their workers: Pay them: NPR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기업 실적이 쏟아지면서 미국 선물이 하락하고 있습니다.

도쿄 – 미 증시는 일부 급격한 손실을 줄였지만 수요일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의 금리 회의를…

한국의 뉴딜은 청렴성을 회복해야 한다: 동아일보

문재인 대통령은 한국형 뉴딜 1주년을 맞아 ‘한국형 뉴딜 2.0’이라는 새 정책을 발표했다.…

북한은 왜 지구적 고립을 선택했는가? 투자 모니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고립주의’ 입장을 견지하고 있지만, 이로 인해 경제가 어려움을 겪고…

폭풍이 거센 바람을 불러오는 태풍 힌나무르에 대비하는 한국

이 이야기에 댓글 보류 서울 – 지난주 올해 가장 강력한 열대성 폭풍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