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N) – 30년 이상 동안 베테랑 영국 전사 제임스 그란데(James Grande)는 전쟁에 참전한 청년 시절에 수습한 시신의 무덤을 방문하기 위해 매년 5,500마일을 한국을 방문했습니다.
유엔 주한유엔기념공원(UNMCK)에 따르면 그란데는 1951년 한국전쟁에 참전했을 때 겨우 19세였다. 복구 부대의 일원으로 전사한 병사들은 한반도 전역의 전장에서 회수되어 부산의 남쪽 항구 도시에 위치한 묘지에 묻힐 수 있도록 이송되었습니다.
이 묘지는 세계에서 유일한 유엔 묘지로 남아 있으며 많은 사람들에게 이곳은 한국 전쟁에서 잃은 참전 용사, 미망인, 사랑하는 사람들의 마지막 만남의 장소입니다.
1955년 한국 정부가 전쟁 중 유엔 깃발 아래 파견된 22개국에서 파견된 군인과 의료진을 기리기 위해 유엔에 영구적으로 사용할 땅을 제공한 후 설립되었습니다.
8월 21일 부산 유엔기념공원.
제시 영 / CNN
이들 국가의 대부분이 사망자의 시신을 반환했지만 UNMCK에 따르면 현재 11개국에서 2,3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이곳에 묻혀 있습니다.
이 군인들 중 많은 사람들은 나중에 그들의 미망인과 다른 가족을 포함하여 함께 묻히기를 원하는 사랑하는 사람들과 합류했습니다.
오늘날 묘지는 35에이커의 목가적인 잔디밭과 물이 특징입니다. 기념관, 전쟁에 참전한 여러 나라의 기념비, 전쟁 기간 동안 사망한 UN 군인의 이름이 모두 새겨진 기념 벽이 있습니다. 전쟁. 갈등.
입양한 손녀인 브렌다 박은정 씨는 그란다가 수습한 시신을 묻자 “‘꼭 다시 가겠다’고 약속한다”고 말했다. 잊지 않겠습니다.” “그래서 약속을 지키기 위해 매년 한국에 오셨어요.”
1988년부터 그는 전염병으로 여행이 중단될 때까지 매년 공동 묘지를 방문했습니다. 박씨는 지난 5월 그란데가 암 투병 중이고 몸이 약해졌지만 마지막으로 한 번은 “한국에 오겠다”고 주장했다.
제임스 그런디(James Grundy), 애칭으로 “짐 삼촌”과 조카 샤론 휴이트(Sharon Hewitt).
샤론 휴이트
“그의 인생에서 유일한 재미였습니다.”라고 그녀는 덧붙였습니다. “그는 다시 오고 싶어했다.”
그런디는 영국에서 8월에 사망했습니다. 그의 유골은 그의 유언에 따라 유엔 공동 묘지로 옮겨질 것입니다. 박씨는 “묘지에서 동료들과 함께 편히 쉬고 싶었다”고 말했다.
빠른 데이트
수백만 명의 목숨을 앗아갔음에도 불구하고 때때로 “잊혀진 전쟁”이라고 불리는 한국 전쟁은 북한군이 남한을 침공한 1950년 6월에 발발했습니다.
미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긴급회의를 소집해 침공 이틀 만에 한국에 파병하기로 결정했다.
22개국으로 구성된 유엔군 사령부는 미국 주도의 군대가 북한과 중국의 국경을 향해 진격하면서 전쟁의 기세를 바꾸는 데 일조했습니다. 그러나 중국군이 개입해 유엔군을 한반도로 밀어붙였다.
남북한이 오늘날의 남북 국경선인 38선을 따라 교착 상태에 이르렀습니다. 1953년 7월 27일에 체결된 휴전 협정으로 분쟁이 중단되었습니다. 그러나 평화 조약이 없었기 때문에 전쟁은 공식적으로 끝나지 않았으며 그 영향력은 오늘날까지 계속되고 있습니다.
1951년 한국 부산 근처 유엔 기념관에서 미군 상병이 9세 한국 소녀가 죽은 동료 중 한 명의 무덤에 흰 장미 꽃다발을 놓는 것을 지켜보고 있다.
Bettmann 아카이브 / 게티 이미지
일부 참전 용사들에게 유엔 묘지는 전쟁의 대가와 그들이 다른 병사들과 맺은 깊은 관계, 그리고 한국과의 깊은 관계를 나타냅니다.
18세에 참전한 미국 참전용사인 Boyd L. Watts는 Hubs Magazine에 1991년 이래로 적어도 일년에 한 번은 부산을 방문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 나라가 불과 수십 년 만에 얼마나 발전했는지에 놀랐다고 말했습니다. 이는 묘지에서도 강조된 주제였습니다. 기념관에서 방문객을 위한 비디오는 한국이 유엔군의 희생으로 가능해진 전쟁으로 폐허가 된 국가에서 번영하는 현대 수도로 변모하는 과정을 강조합니다.
2020년 11월 11일 부산 유엔기념공원에서 열린 6.25전쟁 유엔 참전용사 추도식에서 대한민국 의장대가 유엔 동맹국 국기를 들고 있다.
정윤지/AFP/게티 이미지
부산을 다시 찾은 다른 전사들도 같은 심정을 되풀이했다.
개인 일등병으로 복무하며 북한군과 백병전을 벌였던 요한 테오도르 엘데베르트(Johann Theodor Eldewerld)는 2016년 한국으로 돌아왔습니다. 한국 연합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엘더월드는 한국의 경제 회복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는 이듬해 사망해 묘지에 묻혔다. 연합에 따르면 그의 유골은 “내 동지들이 영원히 잠들어 있는 대한민국에” 묻히기를 바란다는 유언에 따라였다.
마지막 휴게소
살아남은 참전 용사들의 소규모 그룹이 진행됨에 따라 전 세계에서 점점 더 많은 수의 사람들이 그들이 한때 방어하기 위해 싸웠던 외국의 친구 및 동지들과 함께 공동 묘지에 묻힐 것을 요청했습니다.
미국 참전용사인 Watts는 2010년 Haps 잡지에 “그들은 우리의 많은 부분을 오래된 안개 속에 묻었습니다…나는 그 일부가 되고 싶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의 소원은 2020년 세상을 떠난 뒤 친지, 친구, 군 관계자, 주한미국대사관이 참석해 이뤄졌다.
또 다른 미국 참전용사 러셀 해롤드 건스타드(Russell Harold Gunstad)는 전쟁 중 헌병으로 복무했으며 2020년 유엔 묘지에 안장되었습니다.
8월 21일 유엔기념공원 한국.
제시 영 / CNN
묘지에 마지막으로 묻힌 참전용사는 캐나다의 존 로버트 코미어(John Robert Cormier)로 2021년 사망해 올해 6월 안장됐다. UNMCK에 따르면 그는 전쟁을 위해 한국에 도착했을 때 겨우 19세였으며 생명을 위협하는 부상을 입은 후에도 전장으로 돌아왔습니다.
코소보 유엔사절단은 의식이 끝난 뒤 그의 ‘열망’이 공동묘지에 안장됐다며 “이곳에서 그를 기다리던 380명의 (캐나다) 동료들이 그리웠을 텐데 오늘 그들이 다시 뭉쳤다”고 말했다. “
오늘날, 해안에서 멀지 않은 묘지는 버스와 지하철로 갈 수 있는 전쟁 역사의 여행자에게 여전히 인기 있는 목적지입니다. 입장료는 무료이며 유엔기 하강식이 매일 거행되며 한국전쟁 발발 등 주요 기념일을 기념하는 특별 행사가 있습니다.
맨 위 사진: 8월 21일 부산에 위치한 유엔기념공원 한국. 출처: Jessie Yeung / CN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