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가 사상 최고 수준으로 치솟고 한국 경제에 큰 위험이 대두되면서 한국 가계의 부채 부담은 세계 주요 경제국 가운데 두 번째로 많다. 한국은행은 높은 가계부채가 장기적으로 한국의 경제성장을 저해하고 소득불평등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국제결제은행(BIS)이 세계 17개 주요 경제국의 총채무상환비율(DSR)을 분석한 결과 2022년 한국의 부채상환비율(DSR)은 13.6%로 호주(14.7%)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DSR은 연소득 대비 가계대출 상환액을 나타내는 지표다. DSR이 높을수록 소득 대비 부채 부담이 크다.

한국의 DSR 성장률도 세계 최고 수준이었다. 한국의 DSR은 2021년 12.8%에서 2022년까지 0.8%포인트 증가해 호주(1.2%포인트)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증가폭을 기록했다. 그 결과 2021년 노르웨이(14.5%), 덴마크(14.2%), 네덜란드(13.8%), 호주(13.5%)에 이어 5위였던 한국의 DSR은 2022년에 3계단 뛰어올랐다.

초저금리 시대였던 코로나19 팬데믹 기간까지 범위를 확장하면 한국의 DSR은 2019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1.4%포인트 상승해 조사 대상 국가 중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집값이 한창이던 2017년(11.7%)부터 5년간 한국의 DSR은 1.9%포인트 올랐다. 최근 5년간 한국의 가계부채 증가율이 1% 미만이거나 DSR 축소에 그친 스웨덴(+0.7%포인트) 등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주요국 가운데 가장 많이 증가했다.

BIS 기반의 DSR은 분모인 소득에 금융부채가 없는 가구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과소평가될 가능성이 있다. 한국은행 가계부채 DB(약 100만 차주 패널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전체 가계 차주 평균 DSR은 40.3%로 추정됐다. 더욱이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금리는 2020년 2.75%에서 2022년 4.60%로 인상돼 원리금 상환 압박이 가중됐다.

가계부채는 한국은행의 급격한 금리 인상에도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와 시장금리 인하 등으로 다시 불어나 6월 1062조3000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은 “부동산 대출의 과도한 편중은 한국 경제의 장기적 성장을 저해하고 자산 불평등 등 부정적 영향을 낳는다”고 말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포스트 팬데믹 시대 디지털 혁신의 최전선에 있는 리스크 감수 산업: 문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스타트업 산업박람회 개막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청와대 제공). (청와대) 문재인…

잠재성장률 하락 속에 한국 경제는 중대한 고비에 직면해 있다: CFO

서울, 1월 12일(연합) —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이 부족하고 모멘텀이 약한 가운데…

[ED] 외환 거래 – The Korea Times

[ED] 외환 거래 – The Korea Times …

한국, 주택 가격 폭락에 주택 소유자에 대한 세금 인하 조치

로이터 | 2023년 3월 22일 오전 2시 10분(동부 표준시) 서울 (로이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