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태연 청와대 정책실장이 2024년 4월 25일 청와대에서 올해 1분기 실질GDP 성장률 등 경제현안에 대해 보고하고 있다.(연합)

송태연 청와대 정책실장이 2024년 4월 25일 청와대에서 올해 1분기 실질GDP 성장률 등 경제현안에 대해 보고하고 있다.(연합)

올해 1분기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3%로 발표되면서 기대를 뛰어넘는 경기 회복 추세가 지속될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 촉발됐다.

정부 일각에서는 올해 성장률을 평균 2%대로 점치고 있다. 반면 일부 전문가들은 대내외 불확실성을 이유로 조심스러운 입장을 내놓고 있다. 특히 한국의 최대 수출시장인 미국 경제의 예상치 못한 저성장이 우려와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것이라는 점을 지적한다.

2024년 첫 3개월 동안 한국의 GDP는 분기별로 1.3% 성장했는데, 이는 정부 전망치 0.5%와 시장 전망치 0.6%를 두 배 이상 웃도는 수치이다. 기획재정부와 청와대는 목요일 한국은행이 잠정 수치를 발표한 직후 이러한 성장이 경기 회복에 대한 긍정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브리핑을 열어 예상치 못한 성장에 대한 정부의 열의를 강조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1일 한겨레신문과의 인터뷰에서 “1분기 성장률은 기껏해야 1%에 이를 것으로 생각했다”고 말했다. “우리는 1.3%라는 숫자를 결코 예측할 수 없었습니다.”

예상치 못한 성장으로 인해 정부는 현재 2.2%로 설정된 연간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습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성장 궤도가 다소 나아진 것으로 본다”며 “연평균 2%대 성장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우리는 OECD가 곧 세계 경제 전망을 검토하고 한국의 성장 전망을 높일 것으로 기대합니다.”

2024년 4월 28일 서울의 한 주유소에서 한 사람이 오토바이에 기름을 채우고 있다. 유가는 5주 동안 계속 오르고 있다.  (김해연/한겨레)

2024년 4월 28일 서울의 한 주유소에서 한 사람이 오토바이에 기름을 채우고 있다. 유가는 5주 동안 계속 오르고 있다. (김해연/한겨레)

정부가 수정한 성장률 전망치는 오는 7월 발표 예정인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에 포함될 예정이다.

정부 관료들 사이에서는 낙관론이 우세한 반면, 시장 참여자들은 보다 신중한 태도를 취하고 있습니다. 2024년 1분기 급격한 성장이 일시적인 요인으로 가능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중앙은행도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발표한 뒤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예년보다 온화한 겨울 날씨”와 “신규 휴대전화 출시 영향”에 주목했다.

따뜻한 날씨로 인해 건설현장 작업과 야외활동이 많아지면서 투자와 소비 실적이 예상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1분기 성장률에 민간소비와 건설투자 기여도는 각각 0.4%포인트에 달했다.

일부 분석가들은 강한 민간 소비 수치가 해외 소비 활동을 반영하기 때문에 기만적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을 제외하더라도 한국경제는 여전히 물가상승과 고금리의 현실에 직면해 있다. 금리에 대한 우려는 올해 초 예상보다 깊어졌으며, 금리가 장기적으로 높은 상태를 유지할 가능성이 약간 높아 보입니다.

특히 이란과 이스라엘의 갈등으로 중동 위기가 고조되는 상황에서 유가와 환율이 상승하면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하준경 한양대 교수(경제학)는 “인플레이션과 유가 관련 불확실성이 너무 높아 올해 초 예상됐던 경제 동향을 뒤집는 것은 아직 이르다고 본다”고 말했다.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는 요구는 목요일 미국이 1분기에 1.6%의 연간 성장률을 발표하면서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시장이 예상한 2.4%보다 낮아진 수치는 한국의 성장을 촉진해 온 수출 추세 개선에 먹구름이 형성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미국은 한국의 최대 수출시장이다.

정부는 미국의 경고 신호에 비교적 신중한 대응을 취하고 있다.

“미국의 성장통계를 분석해 보면 기대 이하로 떨어진 것은 내수가 아닌 미국의 수출 부문이라는 점에서 이러한 상황이 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수출에 즉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소비.”

또한 미국의 성장에 관한 예비 추정치와 예비 추정치 사이에는 눈에 띄는 차이가 있었습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성장 둔화가 반도체 등 한국 수출 부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 경제의 가까운 미래를 낙관적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지금은 긴장을 풀 때가 아니다. 우리는 깨어나 다가올 일에 대비해야 한다.”

최하얀 기자 안태호 기자

질문이나 의견은 다음 주소로 보내주세요. [[email protected]]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재무건전성 강조로 2023년 한국 성장률 1.4%로 제한

화물컨테이너가 부산항을 가득 채운다. (연합) 2023년 한국 경제는 잠재성장률 약 2.0%보다 낮은…

Covid-19는 취업 기회를 줄여 젊은이들이 군대에 참여합니다.

논산, 한국-집에 갇혀 온라인 강의를 받고있는 카일 최 (20)는 전염병을 제거 할…

8월 일자리 보고서에 대한 소우(Sow) 노동부 장관 대행의 성명

워싱턴 미국 노동부 장관 대행 Julie A. 2023년 8월 고용 상황 보고서에…

Wheelock에서 워싱턴까지 | BU 오늘

Joshua Goodman 부교수는 Biden 경제 자문위원회에서 1년을 보내고 있습니다. 작년에 Joshua Goodman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