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로자의 실제 연간 근로시간은 10년 동안 거의 200시간 가까이 줄었지만, 여전히 OECD 회원국 평균보다 훨씬 더 오래 일한다.

29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근로자의 월평균 근로시간은 2023년 156.2시간으로 2022년 158.7시간보다 2.5시간 줄었다.

2013년 월평균 근로시간은 172.6시간으로 연간 2,071.2시간에 달합니다. 이는 노동시간이 월 16.4시간, 연간 196.8시간 감소하는 등 지난 10년 동안 크게 감소했음을 의미한다.

2017년에는 연간 근로시간이 1,995.6시간으로 처음으로 2,000시간 미만으로 떨어졌습니다. 6년 뒤인 2023년에는 더욱 낮아져 1,874시간으로 처음으로 1,900시간 아래로 떨어졌다.

고용노동부는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 유급휴가 확대, 대체휴가 확대, 사회적 인식 변화 등 제도적 변화로 인해 국내 근로시간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노동부는 또 상대적으로 근로시간이 짧기로 알려진 건설, 주택, 식품서비스, 보건복지서비스 등 업종의 근로자 수가 늘어나 근로시간이 대폭 단축됐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감소 추세에도 불구하고 한국인들은 여전히 ​​다른 OECD 국가의 동료들에 비해 오랜 시간 일합니다. 2022년 현재 한국은 콜롬비아, 멕시코, 코스타리카, 칠레, 이스라엘에 이어 6위로 여전히 총 ​​근무 시간이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입니다.

2022년 통계에 따르면 한국 근로자는 연간 평균 1,901시간을 일했는데, 이는 OECD 평균 1,752시간보다 149시간 더 긴 것이다.

동시에 노조와 시민사회단체에서는 주 4일 근무제 도입 등 추가 개혁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양대 노조 중 하나인 한국노총과 노동·시민사회단체가 2024년 총선에서 주4일 근로제를 공약으로 채택하자고 어제 '주4일근로연대'를 발족했다. 선거.

READ  한국은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에서 새로운 기록을 수립하고 Omicron을 방지하기 위해 검역 면제를 중단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한국의 미들파워 원조 외교

저자: Jeffrey Choi, Monash University 공적개발원조(ODA)는 한국의 아시아 중견국 외교에서 점점 더…

한국의 달러 예금은 안전과 수익으로의 여정에서 기록을 세웠습니다.

5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폐대응센터에서 직원이 달러를 분류하고 있다. [YONHAP] 저축자들이 안전한…

팔콘테스가 한국을 1-0으로 꺾고 8강행 티켓을 예매했다.

나이지리아의 팔콘테스는 일요일 코스타리카에서 열리는 FIFA U-20 월드컵에서 한국의 태극 낭자를 1-0으로…

문 대통령은 한미동맹이 동북아 평화의 ‘중추’라고 말했다.

서훈 국가안보실장이 2021년 12월 1일 서울 호텔에서 열린 한미 만찬에서 문재인 대통령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