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심과 원화 더미, 길거리를 걷고 있는 한국인들의 모습이 복합된 이미지는 복합적인 요소에 의존하는 한국 경제를 상징한다.
서울 도심과 원화 더미, 길거리를 걷고 있는 한국인들의 모습이 복합된 이미지는 복합적인 요소에 의존하는 한국 경제를 상징한다.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3년 반 만에 처음으로 100% 아래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고금리 환경이 장기화되면서 부채 거품이 어느 정도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국제금융연구소가 9일 발표한 세계부채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8.9%로 유로존을 포함해 조사 대상 34개국 중 가장 높다. 올해. 년도. 이어 홍콩(92.5%), 태국(91.8%), 영국(78.1%), 미국(71.8%) 순이다. 한국은 2020년 코로나19 사태 이후 4년 넘게 1위 자리를 지켰다. 낮은 가계부채 비율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아직까지 ‘불명예’ 위상을 흔들지 못하고 있다.


2020년 3분기 100.5%로 100%를 넘었던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비율은 3년 반 동안 처음으로 90%대로 떨어졌다. 가계부채가 105.5%로 최고조에 달했던 2022년 초 유동비율은 6.6%포인트 낮아졌다. 이 비율이 100%를 넘으면 가계부채가 해당 국가의 경제 규모를 초과한다는 뜻이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한국의 감소폭은 홍콩(-3.8%포인트), 영국(-3.5%포인트), 미국(-2.8%포인트)에 이어 네 번째로 컸다. 이는 우리나라 가계부채 비율의 뚜렷한 개선 추세를 보여주는 것이다.


하지만 가계부채비율이 안정적인 수준에 도달하려면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이 많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누적된 가계부채가 GDP의 80%를 넘으면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커진다. 중앙은행은 경제성장과 금융안정을 위해서는 가계부채를 20%포인트 정도 줄여야 한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현재 진행 중인 국내 부동산 집중 문제가 걸림돌이다. 주택담보대출, 임대대출 등 주택 관련 대출이 우리나라 가계부채의 60% 이상을 차지한다. 이러한 대출을 갑자기 줄이는 데에는 제한이 있습니다.


한편, 민간부채의 또 다른 기둥인 기업부채의 증가세는 수그러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1분기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금융 기업부채 비율은 123.0%로 지난해와 변함없이 주요국 중 4위를 기록했다. 높은 이자를 지급하면서도 ‘빚을 진 기업’이 줄지 않았다는 뜻이다. 한국 외에 비율이 더 높은 국가는 홍콩(261%), 중국(170.6%), 싱가포르(127.2%) 순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경제를 덮는 클라우드: 코리아헤럴드

서울 한국은 수출 호조에 힘입어 경상수지 흑자를 유지하고 있으나 흑자는 감소하고 있다.…

Kishida, Biden 및 Yoon은 히로시마에서 G7 정상 회담 부업에서 만납니다.

일본, 미국, 한국은 5월에 히로시마에서 열리는 G7 회의와 별도로 3자 정상회담을 가질…

KDI “하반기 경기회복 기대”

재원 2023-06-11 16:4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 정상회의 이후 한중 관계는 불안한 상태다.

연석열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모스콘센터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비공식 대화에서 시진핑 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