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Jeffrey Choi, Monash University
공적개발원조(ODA)는 한국의 아시아 중견국 외교에서 점점 더 중요한 부분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이 분야에서 글로벌 표준을 채택하고자 하는 열의를 표명하고 있지만, 채택의 속도, 범위 및 정도는 한국의 외교경제부와 같은 주요 주체의 표준 및 매개변수에 따라 다릅니다. – 의존적 결과. .
외부 관찰자들에게 한국의 ODA는 여전히 국가 이익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설정한 글로벌 표준을 선택적으로 준수하고 있습니다. 그 설명의 일부는 한국이 공적개발원조 수혜국에서 공여국으로의 역사적 변화일 수 있다. 우리나라의 ODA가 경제발전에 크게 기여한 반면, 서울시 경제의 세계화와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출범은 1990년대 초반부터 정부가 협력국에 ODA를 체계적으로 제공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1991년 KOICA 설립 당시 공적개발원조는 5,700만 달러였다. 2010년까지 한국의 공적 개발 원조 규모는 그 규모의 20배 이상으로 확대되었습니다. 한국은 2010년 마침내 전통적인 선진국 기부 클럽인 경제협력개발기구(DAC) 개발원조위원회에 가입했다.
위원회에 합류한다는 것은 한국이 글로벌 DAC 표준을 준수하고 이를 공적 개발 원조의 거버넌스 및 관행에 통합하기로 서약한다는 의미입니다. 여기에 문재인 정부의 강력한 발언에도 불구하고 일부 기준은 국내화에 실패했다.
한국은 글로벌 공적개발원조 기준과 달리 DAC가 보조금을 권고할 때 양허성 차관의 상당 부분을 보유하고 있다. 10년 전(2010-2019) DAC에 합류한 이후 소프트론의 비중은 DAC 평균 5%에 비해 37%에 달했다. 더욱 우려되는 것은 서울시의 ‘제한’ ODA(제공자로부터 재화나 용역을 구매하는 데 사용되는 지원)의 비율이 약 50%라는 점입니다. 한국은 DAC가 ‘무제한’ ODA를 적극 권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DAC 회원국 중 ‘제한적’ 원조 비율이 가장 높다.
한국의 ODA 역시 아시아에 크게 치우쳐 있으며, 우선 협력 대상국에는 중상위 소득 국가가 포함되며 이들 중 다수는 최빈국이나 중하위 소득 국가보다 ODA가 덜 필요합니다. 2019년 한국의 공적 개발 지원의 거의 40%가 경제 기반 시설에 투입된 반면 인도적 지원은 2%에 불과했습니다.
한국의 ODA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그것이 국가의 국가 및 전략적 이익에 기여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남한에 대한 ODA가 인도적 가치와 목표에 부합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한국에 대한 ODA가 글로벌 ODA 기준을 무시하지 않으면서 국가 및 인도적 목적에 부합할 수 있다는 주장과 함께 국가 이익의 우선성을 부정하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한국 정부는 이러한 도전에 대처하기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2020년 한국의 국제개발협력기본법이 전면 개정되었습니다. 국가의 이익 추구도 명시적인 목표이지만 빈곤 감소, 인권, 양성 평등, 지속 가능한 개발 및 인도주의를 강조하는 글로벌 공적 개발 지원 기준이 변경되었습니다. . 한국의 ODA 5개년 전략은 ODA 약속을 ‘신남방’ 및 ‘신북방’ 정책과 같은 대외 및 경제 우선순위와 그 어느 때보다 긴밀하게 연결합니다.
이러한 과감한 움직임은 21세기 공적 개발 지원의 글로벌 거버넌스의 복잡한 네트워크에 의해 가능했습니다. 거의 15년 전 세계 금융 위기 이후 전통적인 공여국의 공적 개발 지원 약속이 흔들리고 있으며, 개발 자금 조달은 유엔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를 달성하기에 충분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한국의 ODA에 대한 적극적인 접근은 중국과 같은 신흥 공여국은 물론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 덴마크와 같은 전통적인 DAC 회원국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능 한 환경에서 한국은 최근 ODA 지불을 확대하고 ODA에 대한 다양한 이해 관계자의 이익을 더 가깝게 만드는 데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모색했습니다. DAC에 가입한 지 10년 동안 한국의 공적 개발 원조 규모는 연평균 12% 성장해 DAC 회원국 중 가장 높은 평균 2%를 기록했다. 능력, 집중, 헌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사이에서 기동하고 동맹을 구축하는 창의성 측면에서 한국은 품위있는 중견국으로서 ODA를 추구한다.
그러나 한국의 ODA는 국익의 전체적 개념이 아니라 국내적 기준과 정치구조의 관점에서 분석되어야 한다.
서울에서 ODA 전략의 국가집중화는 한국이 수원국이었을 때 50대 ODA 경험의 대부분을 얻은 ODA 감독 부처의 정체성과 기준에 의해 형성되었다. 이것은 한국의 ODA에서 상충하는 가치의 공존과 글로벌 ODA 표준에 대한 서울의 완전한 동화가 없음을 설명합니다.
국가 이익 추구가 일방적으로 보이지 않고 ODA가 제공하는 ODA가 어느 정도 세계 공공재에 기여하는 한 ODA는 계속해서 한국의 중견국 전략의 성공적인 부분이 될 것입니다.
최승광(Jeffrey) 최승광(Jeffrey)은 호주 모나시 대학교 사회과학부 박사과정 학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