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OECD는 한국 정부가 건강보험 관련 지출을 모니터링하고 증액률을 결정할 수 없는 상황에서 정부예산이 ‘자동’ 투입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회계로 관리되는 건강보험은 2007년부터 연간 수입의 최대 20%를 세금으로 내고 있다. 여야 간 갈등으로 기지가 사라졌다. 그런데 올해 건강보험 예산에서 11조원이 절약될 예정이다.
이처럼 거액의 조세지원에도 불구하고 국민건강보험의 지출규모와 보험료율은 보건복지부장관 자문기구인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서 결정한다. 25명 위원 중 의료·제약계나 정치적 배경을 가진 인사의 비중이 압도적이다. 포퓰리스트 정치인들의 메디케어 확대 요구와 의료·제약 업계의 이익이 청산 없이 지출을 끌어올릴 수 있는 구조다.
건강보험 관련 비용이 늘어나면서 국가예산에 재정적 부담이 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해 그녀의 지출은 86조6000억원으로 건강보험이 일원화된 22년 전의 8배였다. 2018년 ‘문재인 케어’ 도입으로 초음파, MRI 등 환자 본인부담금이 줄었다.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는 건강보험요율을 계속 인상하고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역부족이다. 직장인들이 내는 월 건강보험료는 올해 들어 2000원이나 늘었지만 여전히 1조4000억원 부족이 예상된다. 현 추세대로라면 2029년 건강보험 적립금이 고갈돼 정부예산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거세질 전망이다.
한국의 8개 사회보험 중 국민건강보험과 개호보험만 별도의 계정으로 운영되고 있다.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사학연금, 실업보험, 산재보험은 재정예측 등을 통해 예산당국과 국회의 심의 대상이다. 한국은 2026년이면 65세 이상 인구가 20%를 넘는 고령화 사회가 된다. 건강보험 지출은 걷잡을 수 없이 빠르게 늘어날 것이다. 국민이 내는 보험료와 세금이 불필요하게 낭비되지 않도록 더 늦기 전에 외부 통제 시스템을 구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