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저소득 경제에서 고소득 경제로 성공적으로 전환한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이며, OECD 개발원조위원회 원조 수혜국에서 DAC 공여국으로 전환한 유일한 국가입니다. . 한국은 미리 계획된 발전 경로를 맹목적으로 따르는 것이 아니라 올바른 방향으로 전환함으로써 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습니다. 한국의 발전 성공을 설명하려는 이야기는 많지만, 대부분 심각한 결함을 안고 있다. 예를 들어, 일부 학자들은 한국이 처음부터 중요한 이점, 특히 일본 식민 통치 기간 동안 구축된 물리적 기반 시설과 인적 자본을 누렸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한국전쟁으로 인해 대부분의 한국 기반 시설이 파괴되었습니다. 더욱이 일제는 조선인에게 초등교육만을 제공했는데, 실제로 조선인 어린이의 47%만이 이 학교에 다녔다. 초등학교 입학률은 1945년 식민통치 이후까지 증가하지 않아 1949년 82%에 달했고, 1950년 초등교육이 의무화됐다. 내전의 수년은 유용하지 않습니다. 한반도의 모든 광물이 북한에 있었기 때문에 한국은 전쟁 후 수출할 물품이 없었습니다. 심각한 식량 부족에 직면하여 1950년대와 1960년대 내내 미국의 식량 원조에 의존하게 되었습니다. 1961년 박정희 군사정권이 집권했을 때 산업화를 진전시키는 것보다 국민을 먹여 살리는 데 우선순위를 두어야 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곡물을 농민으로부터 높은 가격에 구매하고, 소비자에게 낮은 가격에 파는 곡물 이중 가격 정책을 시행했다. 이는 정부가 식량 가격을 낮게 설정했던 1950년대 정부의 접근 방식과는 급격한 반전을 의미합니다. 저렴한 가격을 유지하고 인플레이션을 줄이기 위한 접근 방식은 농부들이 생산성을 향상시키려는 인센티브를 약화시켰습니다. 정부는 또한 1972년에 다수확 신품종 쌀을 개발했습니다. 한국의 군정은 다른 방법으로도 경제에 개입했습니다. 실제로 일부 연구자들은 한국의 경제 기적을 소위 ‘워싱턴 컨센서스’를 방어하기 위한 일종의 방어로 보고 있지만, 사실은 정부가 금융 및 무역 자유화에 대해 신중한 접근 방식을 취했다는 것입니다. 박 대통령이 집권 후 가장 먼저 취한 조치 중 하나가 국내 저축 감소로 인한 심각한 자본 부족을 극복하기 위해 시중은행을 국유화한 것이라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워싱턴 컨센서스(Washington Consensus)에 명시된 바와 같이 신속한 금융 및 무역 자유화의 이점은 탈세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민간 부문에는 따라잡는 데 필요한 역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접근하거나 개발도상국의 정지 및 이동 주기를 따르십시오. 예를 들어, 우간다와 같은 일부 아프리카 국가에서는 상업 은행과 외국 은행이 매우 높은 이자율을 부과하여 현지 제조 역량에 대한 중요한 투자를 약화시키고 자본 유출을 조장합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정부가 거의 2년을 투자할 때까지 은행이 민영화되지 않았습니다. 수십 년 동안 중국은 낮은 금리를 성공적으로 유지함으로써 투자를 촉진하고 저축이 제조업 부문의 역량 강화에 집중되도록 했습니다. 이는 소득 증가에 크게 기여하여 낮은 이자율에도 불구하고 국내 저축률이 1960년대 초 GDP의 9%에서 1980년대 중반에는 거의 30%로 증가했습니다. 한국도 무역 자유화에 대해 비슷한 현명한 접근 방식을 취해왔습니다. 국가가 무역을 자유화하면 국내 기업은 외국 기업과 경쟁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할 경우, 정부가 예방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외국 기업이 독점을 창출하거나 국내 산업 기반을 파괴할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미래의 수출 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소비재에 대한 매우 높은 관세의 형태로 이러한 보호가 이루어졌습니다. 과도한 외국 경쟁에 노출되기 전에 번영하십시오. 보호받는 국내 기업은 독점 임대료를 투자 자금 조달에 사용했는데, 그 이유는 정부의 보호 조치가 수출 실적에 따라 조건부로 적용되었고 기업은 여전히 ​​글로벌 수출 시장의 규율에 취약했기 때문입니다. 반면, 한국이 수입해야 하는 자본재에는 매우 낮은 관세가 부과되었습니다. 개발에 관한 또 다른 두드러진 서술은 기관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대런 애스모글루(Daron Acemoglu), 사이먼 존슨(Simon Johnson), 제임스 로빈슨(James Robinson)은 국가 자본주의 체제의 전형적인 착취적 제도를 갖춘 개발도상국은 발전하지 못하는 반면, 한국과 같이 포용적(또는 민주적) 제도를 갖춘 경제는 성공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합니다. 한국의 발전 성공은 권위주의적인 국가자본주의 체제 하에서 이루어졌다. 더욱이 Edward Glaeser와 동료들은 인적 자본이 제도적 변수보다 경제 성장과 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그래서 진짜 이야기는 권위주의 정권 하에서 한국의 인적 자본에 대한 투자가 성장을 촉진했고, 그리하여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중산층의 출현으로 이어졌다는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일부 학자들은 아시아 국가들이 수출주도 성장을 수용하는 것 사이의 모순을 강조합니다. 많은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이 따르는 폐쇄적인 수입 대체 전략 및 정책. 그러나 여기서도 한국은 수출 중심의 성장 전략을 실행하는 동시에 수입 대체를 추구하면서 자신의 길을 갔다. 문제는 국내 기업이 수출용 상품을 생산하려면 해외에서 자본과 중간재를 수입해야 한다는 점이었다. 가격이 비싸다. 1980년대 후반 한국의 지속적인 무역적자를 초래한 제안이다. 따라서 정부는 이러한 상품을 현지에서 생산된 대체품으로 대체하려고 노력했습니다. 글로벌 가치 사슬에서 한국의 저개발된 참여(총 수출 대비 해외 부가가치 비율로 반영)는 1980년대 중반과 1990년대 후반 사이에 감소했습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한국은 권위주의 국가에서 탈바꿈했습니다. 반 폐쇄적이고 국가 주도적인 경제 시스템에서 매우 개방적인 시장 경제를 갖춘 강력한 민주주의 시스템으로 전환됩니다. (현재 한국은 미국, 유럽연합, 중국, 인도와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유일한 국가입니다.) 그러나 이것이 바로 이 결과로 이어지지는 않았습니다. 대신 계산된 순서대로 필요한 곳으로 천천히 이동했는데, 이것이 가장 효율적인 개발 경로임이 밝혀졌습니다. – 프로젝트 신디케이트 • 이근 전 대통령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석좌교수, CIFAR 펠로우, 연구정책 편집자, 『혁신 – 후발자를 위한 발전적 분기점』의 저자: 세계화가 쇠퇴하는 시대에 글로벌-로컬 인터페이스 관리(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

READ  국가적 동기보다 동물의 영혼이 더 중요하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Holcomb, 인디애나 무역 사절단을 대만과 한국으로 이끌다 | 전국 뉴스

Eric Holcomb 주지사와 인디애나 기업 및 교육 지도자 대표단은 대만과 한국 방문을…

중국산 수입으로 수천 개의 한국 지역 일자리가 사라지다

1월 1일 부산항에 쌓인 상업용 컨테이너 목요일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으로부터 공산품…

북한이 남한과의 경협법을 파기했다.

북한 국회가 금강산 관광지구 관련 규제 등 남북경협 관련 법률을 폐지했다고 국영매체가…

중국, 3국 정상회담에서 한·일 자유무역 지지 촉구 비즈니스와 경제

리창(Li Qiang) 중국 총리는 3국이 서로를 “발전의 파트너이자 기회”로 보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