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부진 속에 2023년 GDP 성장률은 3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하락
글 이경민
전문가들은 예상보다 강한 칩 수출이 물가 상승, 금리 상승, 부동산 프로젝트 자금 조달 문제로 인한 건설 경기 침체로 인한 국내 소비 위축을 상쇄할 수 없을 것이라고 목요일 밝혔다.
한국은행의 사전 GDP 추정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성장률이 1.4%에 그쳤다는 사실은 이러한 암울한 전망을 더욱 뒷받침합니다. 이는 코로나19 대유행으로 경제가 2020년 0.7% 위축된 이후 가장 약한 성장세다. 이전에는 성장률이 저조했던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성장률이 0.8%에 그쳤습니다. 1990년대 후반 아시아 금융위기로 경제는 5.1% 위축됐고, 1980년대 중동석유위기 때는 1.6% 위축됐다.
불확실성
이인호 전 한국경제학회 회장은 건설경기 정체에 대한 우려가 올해 내내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건설 투자는 국가 성장 프로필의 큰 부분을 차지하며 최근 부정적인 상황은 더 많은 채무불이행과 지급불능 문제가 대두될 것임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오랫동안 기다려온 DRAM 반도체 칩의 회복으로 인해 수개월간 지속된 수출 둔화에서 벗어나게 되었지만 국내 경제 상황은 실질적으로 개선되지 않을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높은 대출 금리와 물가 상승으로 인해 압박을 받고 있으며, 중앙은행의 통화 완화 주기는 적어도 2분기 동안은 구체화되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이씨는 말했습니다. “소비심리는 올해 내내 계속해서 위축될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김완중 하나금융연구원 수석이코노미스트는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 파이낸싱 문제로 인해 경제 회복이 예상보다 빨리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수출이 확실히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건설 및 유틸리티 투자는 여전히 감소하고 있으며, 이는 경제에 상당한 위험을 초래하는 주요 프로젝트 파이낸싱 문제입니다. 회복은 4분기 이전에는 이루어지지 않을 것입니다.”
집단평가의 중심에는 태영건설의 사례가 있다. 문제가 있는 현지 건설회사는 이달 초 승인된 3개월간의 부채 구조조정을 진행 중이다. 이후 다수의 국내 증권사들은 건설업 주식 목표가를 하향 조정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등 글로벌 신용평가사들이 확인한 것처럼 국내 개발사의 재무건전성 악화가 큰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다.
그들은 산업 전반의 침체와 높은 차입 비용으로 인해 앞으로 몇 달 안에 더 많은 지역 건설 및 프로젝트 파이낸싱 회사들의 어려움이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말합니다. 부동산 시장 활성화를 위한 단기 정부 부양책이 부족한 점도 고려 대상입니다.
올해 최고?
중앙은행은 올해 한국의 성장 전망이 IT 수출의 반등에 힘입어 더 좋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금리 상승과 상품·서비스 가격 상승이 지속돼 정체된 소비가 개선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인정했다.
한은은 “지난해 물가 상승과 금리 상승으로 민간소비와 수출 모두 성장세가 둔화됐다”며 “그러나 지난해 4분기 칩 수출이 올해 국가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은 지난해 2분기부터 4분기까지 3분기 연속 0.6% 성장했다.
이는 지난해 1분기 0.3% 성장으로 분기 연속 경기 위축을 겪은 이후 개선된 모습이다. 2022년 4분기 경제는 0.4% 위축됐다.
다만 한은은 올해 성장률이 기존 전망치 2.1%보다 0.2%포인트 낮은 1.9%대까지 떨어지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경고했다.
이어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면 원자재 가격도 상승해 전국적으로 파급효과가 커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가 변동성은 한국의 주요 변수입니다. 유가의 궤적은 여전히 불확실합니다.”
마찬가지로 리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2월 20일 2.1% 성장률은 주로 반도체를 비롯한 IT 수출의 강력한 반등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IT수출을 제외하면 잠재성장률보다 낮은 1.7%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