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태원 SK그룹 회장(가운데)과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2024년 5월 23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닛케이 포럼에서 니이나미 다케시 산토리 회장(오른쪽)과 함께 연설하고 있다. 주제

지태원 SK그룹 회장(가운데)과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2024년 5월 23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닛케이 포럼에서 니이나미 다케시 산토리 회장(오른쪽)과 함께 연설하고 있다. 한일 양국간 ‘동반자 관계를 넘어서’라는 주제. (닛케이 포럼 라이브 스트림에서 발췌)

“한·일 경제협력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 — 지태원 SK그룹 회장

“한·일 협력하면 아시아 미래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 — 니이나미 다케시, 산토리 홀딩스 CEO

한일 양국의 일부 경제계 지도자들은 지금을 양국 경제 협력이 필요한 시기라고 설명하며 이를 위한 적극적인 조치를 촉구했습니다.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기도 한 지 회장은 이날 오후 도쿄에서 열린 닛케이 포럼에 참석해 니이나미 일본상공회의소 회장과 함께 한일 ‘파트너십을 넘어’라는 주제로 대화를 나눴다. 기업경영인협회(Association of Corporate Executives)는 일본의 중요한 비즈니스 그룹입니다.

지 총리는 어제 한일 경제협력이 왜 필요한지, 어떤 조치를 먼저 취해야 하는지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

지 총리는 “한일 간 협력이 시급하다”며 “한일은 저성장 함정에 빠져 있고, 양국 수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자유무역 모델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환경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심각한 에너지 문제입니다.

지 총리는 “이대로 가면 한일 양국 모두 국제적 위상이 하락하고 경제적 생존 가능성까지 우려될 것”이라며 현재 양국이 겪고 있는 저출산 문제를 지적했다.

지 총리는 한국과 일본이 유럽 단일시장과 유사한 경제 협력 구조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더 큰 시장을 만들고 협력을 강화하면 큰 이익을 얻을 수 있고 미래 세대에게 희망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지태원 SK그룹 회장(왼쪽)과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2024년 5월 23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닛케이 포럼에 니에나미 다케시 산토리 회장(오른쪽)과 함께 참석하고 있다.  ) 주제에 대해

지태원 SK그룹 회장(왼쪽)과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2024년 5월 23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닛케이 포럼에 니에나미 다케시 산토리 회장(오른쪽)과 함께 참석하고 있다. ) 한일 양국의 ‘파트너십을 넘어서’를 주제로. (닛케이 포럼 라이브 스트림에서 발췌)

“따로 한국과 일본 시장은 큰 경제 지역을 구성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들 시장을 합치면 연간 3만 달러를 버는 고소득층이 약 2억 명에 달할 것입니다. 미래 성장을 창조하는 능력.

“우리는 경제 안보를 위해 다른 나라들이 정한 규칙을 언제까지 따를 것인가? 한국과 일본은 그들만의 시장을 만들고 그들만의 규칙을 세워야 한다”고 촉구했다.

치 차관은 한국이 포괄적이고 진보적인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에 가입하고 일본과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하는 것이 해당 시장 구축에 도움이 될 것이지만 두 단계 모두 즉시 가능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조치에는 양국 간의 합의뿐만 아니라 입법부의 비준도 필요하므로 상당한 시간이 걸리므로 양국 간의 신뢰 기반 없이는 쉽지 않을 것입니다.”

그는 또한 양국의 기업 부문과 기타 민간 부문의 협력을 통해 많은 진전을 이룰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는 양국이 비용 절감을 위해 액화천연가스를 공동 구매해야 하며, 수소, 암모니아 등 청정에너지 공급원 개발에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미국 실리콘밸리의 지배력을 상쇄하기 위한 스타트업 인프라 구축, 양국의 고질적인 사회문제인 고령화를 활용해 새로운 유형의 ‘실버’ 기업 실험을 통해 양국 간 협력을 제안하기도 했다.

Niinami는 Xi의 구체적인 제안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습니다.

그는 “자유무역의 도전 등 시진핑이 언급한 위기를 활용해 아시아 경제지대를 확장해야 한다”며 “우리가 함께 협력하면 한국과 일본이 아시아 경제 발전을 이룰 수 있다”고 말했다.

니이나미 총리는 한일 경제협력이 한국인과 일본인 모두에게 이익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과 일본만큼 많은 젊은이들이 국경을 넘고 싶어하는 나라를 본 적이 없습니다. 우리 사회도 고령화, 인구 감소, 에너지 문제 등 비슷한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양국 국민 모두에게 매우 유익합니다.

도쿄 특파원 김소연 기자

질문이나 의견은 다음 주소로 보내주세요. [[email protected]]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UAE와 한국, 기업가정신과 중소기업 진흥을 위한 새로운 전략에 합의

UAE와 한국은 기업가 정신을 장려하고 양국의 중소기업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2024년 한국경제는 금리 인상과 인플레이션 영향으로 성장 기대치 하락

6월 30일 서울의 한 전통시장에 폐점 안내문이 게시되어 있다. 연합 금리인하 시점이…

이번 주 작업 | 이코노미스트

2021 년 4 월 8 일 이 이야기를 들어라 브라우저가 항목을 지원하지…

국채, 한국, 완충 ETF, 컴포트 부동산

비인기 업종 살펴보기 아이디어: 미국 주식시장은 2023년 엄청난 상승세를 보였지만 상승 여력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