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고 작은 한국 기업의 임금은 일본 기업을 능가했다.
한국기업협회가 발표한 한일 임금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한국 10인 이상 기업의 월평균 임금은 399만8000원으로 일본 기업(379만1000원)보다 높았다.
2002년에 비해 한국 직원의 월평균 급여는 179만8000원에서 두 배로 늘었다. 이는 같은 해 일본 원화 385만4000원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금액이다.
2022년 기준 국내 주요 기업 정규직 근로자의 평균 급여는 월 588만4000원으로 일본의 1.2배다. 한국 중소기업의 임금은 월 339만9000원으로 일본 기업의 1.04배에 이른다.
임금 인상은 경제 성장과 인플레이션과 함께 움직인다면 나쁜 것이 아닙니다.
일본의 임금은 장기간 정체와 디플레이션 속에서 정체 상태를 이어가고 있는데, 이는 한일 임금 역전의 큰 원인이 된 이른바 '잃어버린 30년'의 주요 원인이다.
그러나 걱정스러운 것은 한국의 생산성이 여전히 일본에 비해 낮다는 점이다. 구매력 기준으로 보면, 2022년 기준 우리나라 노동생산성은 시간당 49.4달러로 노동생산성이 가장 낮은 선진국 중 하나인 일본의 53.2달러보다 낮았다.
아시아 4위의 경제 규모를 자랑하는 한국은 노동 생산성 측면에서 OECD 37개 회원국 중 33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생산성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64.7달러의 76.3%이며, 독일(88.0달러), 미국(87.6달러)의 56%에 불과하다.
생산성 향상이 없는 임금 인상은 지속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국가 경쟁력에도 해를 끼칩니다.
특히, 한국의 노동인구 감소와 유례없는 낮은 출산율(세계 최저 수준)을 고려할 때, 성장잠재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생산성 향상이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경직된 노동시장은 한국의 생산성 향상을 방해한다.
2018년 도입된 주당 최대 근로시간 52시간을 분기당 수백 시간, 연간 수천 시간 등 탄력적 제도로 개정하자는 제안이 노조와 야당에 의해 저지된 것이 단적인 예다.
미국 헤리티지재단(US Heritage Foundation)은 자유와 자유시장의 글로벌 영향을 측정하는 2024 경제자유지수(Economic Freedom Index) 보고서에서 한국의 노동시장 자유도를 184개국 중 87위로 평가했다.
보고서는 한국이 대기업에 대한 규제를 근본적으로 완화하는 등 노동시장 개혁을 실시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중소기업의 경우, 대기업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중점을 둔 현재 정책은 피터팬 증후군을 일으키거나 성장과 생산성 향상을 어렵게 만들 뿐입니다. 정책은 이들의 도전과 성장을 지원하도록 방향을 잡아야 합니다.
이 글은 김은희 님이 편집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