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2월 20일
홍수 미국의 북한인권특사는 유엔이 북한 정권의 조직적인 인권침해를 폭로한 첫 보고서를 발표한 지 10년이 지났지만 북한의 인권상황은 여전히 세계 최악이라고 밝혔다. .
그러나 한 탈북자는 북한 주민들이 '인권 침해'라는 개념을 받아들이기 시작했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변화는 북한의 인권 문제를 강조하고 해결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공동 노력에 기인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줄리 터너 대사는 북한인권자유를 위한 서울포럼에서 영상 메시지를 통해 “인권 위기와 북한 주민들의 고통은 너무 오랫동안 계속됐다”고 말했다.
터너는 유엔 인권위원회의 북한 조사가 2014년 2월 17일 400페이지에 달하는 포괄적인 보고서를 발표한 이후 거의 진전이 없었다고 강조했습니다.
유엔 보고서는 처음으로 북한 정권의 잔혹성을 정확하게 기록했으며, 북한 정권이 “조직적이고 광범위하며 심각한 인권 침해”를 자행하고 있다고 결론지었습니다.
보고서는 또 북한이 “인류의 양심에 충격을 주는 범죄와 관련된 정책을 수십 년 동안 추구해왔다는 점은 국제사회의 대응이 부적절하다는 점에 의문을 제기한다”고 밝혔다.
터너는 참석자들에게 “이 말은 여전히 사실로 들린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상황은 여전히 세계 최악의 상황에 속한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정권이 통제와 억압을 강화하도록 허용했을 뿐”이라고 말했다. 공식명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다.
터너 총리는 회원국들이 조사위원회의 권고사항을 후속 조치하고, 탈북자들의 고국 강제 송환을 자제해야 한다는 점을 중국에 직접 보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터너 대변인은 “이를 위해 미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을 포함한 모든 회원국에 강제송환 금지 원칙을 준수할 것을 계속 촉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터너는 또한 “시민들이 여전히 갈망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북한에 대한 독립적인 정보의 자유로운 흐름을 늘리기 위한 노력을 배가할 때”라고 말했습니다.
악명 높은 유덕 강제수용소에 수감되었던 탈북자 강철환 씨는 “북한 정권은 인권 개선과는 거리가 멀다”고 말했다. 조사위 보고서가 나온 지 1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대신 인권 상황은 더욱 악화됐다”고 한다.
김정은 정권 하에서는 반동사상문화배치법, 청소년교육보장법, 평양문화언어보호법 등의 법률을 통해 주민에 대한 탄압이 강화됐다.
북한에서는 전 세계가 즐길 수 있는 영화나 음악을 듣는 것만으로도 개인이 정치범으로 간주될 수 있다고 강씨는 말했습니다.
탈북민 구출 중재자로 활동하고 있는 또 다른 탈북자 황지성 씨는 김정은 정권 하에서 탈북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음을 강조했다.
황씨는 탈북 중개 수수료가 2010년 1만5000위안에서 10만위안(1만3800달러)으로 올랐다고 주장했다.
수수료 인상은 김정은 정권의 단속 강화와 중국 당국의 탈북자 탄압에 따른 것이다.
게다가 중국의 인공지능 기술 구현과 엄격한 감시 조치로 인해 탈출 경로의 가용성이 감소했다고 황은 말했습니다.
그러나 탈북자이자 인권운동가인 김일혁 씨는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게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지적하며, 이는 인권 문제를 널리 알리고 해결하려는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노력에 기인한다고 말했습니다.
김씨는 북한의 인권 상황에 대해 “사실 이전에 ‘인권’이라는 개념이 낯설었던 북한 주민들이 이제는 ‘인권침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도 이런 변화의 일부”라고 말했다. 영어로 보고된 바와 같이 작년 8월 유엔 안보리 이사회에서.
김 교수는 전염병 발생 직전 남한에 입국한 탈북자들의 증언을 보면 “주민들 사이에서 부당한 처우가 있을 때 ‘인권침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인권 문제 해결에 있어서 국제사회의 압력이 중요함을 강조하면서 이러한 노력이 “북한 인권 문제 해결에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이슬은 좀비 문화의 매력에 빠져있는 전도사입니다. 그녀는 깊은 사상가로서, 현대 사회와 좀비 문화 사이의 관계를 탐구합니다. 제작자로서의 경험과 인터넷에 대한 무한한 열정은 그녀의 수상 경력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웹의 세계에 깊이 빠져, 그녀는 인터넷의 모든 구석을 탐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