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아마도 가장 큰 전환점 중 하나일 것이다. 그 역사에서. 이를 제3의 변곡점이라고 부릅니다. 1980년대까지 큰 성장의 물결이 있었고, 1990년대 금융위기 이후 한국은 또 다른 성장의 물결을 보였습니다.
이제 한국은 그 이후로 보아온 가장 큰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특히 두 가지를 강조하고 싶습니다. 첫 번째는 인구 통계의 변화입니다. 세계 곳곳에서 인구 증가율이 감소하고 있지만 한국은 최악의 국가 중 하나입니다. 나는 매년 백만 명의 아기가 태어나던 1970년대에 태어났습니다.
2023년 올해 한국의 자녀 수는 25만 명 미만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1970년대의 4분의 1도 안 되는 수치입니다. 급격한 인구 감소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현재 한국이 직면하고 있는 두 번째 큰 문제는 GDP 성장률입니다.
국제통화기금(IMF)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한국의 금리를 1%대로 인하하고 있다. 따라서 저는 성장 둔화와 인구 감소가 향후 50~100년 동안 우리가 직면하게 될 두 가지 큰 도전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McKinsey에서는 최근 한국의 다음 S-곡선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를 수행했는데, 여기서 우리는 세 가지 영역에서 8가지 권장 사항을 식별했습니다. 첫 번째는 구조 조정, 두 번째는 변혁, 세 번째는 농업에 관한 것입니다.
구조조정 측면에서 근본적인 문제에 직면한 많은 산업이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석유화학입니다. 한국의 수출액은 석유화학제품이 1~2위를 차지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를 모르고 있지만 한국은 석유제품의 주요 수입국이자 수출국이며 다시 석유화학제품으로 돌아갑니다. 한국 석유화학제품의 1위 진출지는 중국이며, 향후 5~10년간 중국에 대한 석유화학제품 공급이 2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전통적으로 한국의 주요 수출원이었던 한국 석유화학산업에 근본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두 번째는 변화에 관한 것입니다. 우리가 변화에 대해 말할 때 우리가 말하는 변화는 한국 경제가 구조화되는 방식에 있어서 실질적인 변화의 필요성을 의미합니다. 이에 대한 한 가지 예는 전체 모빌리티 부문입니다. 우리는 특히 모빌리티 서비스와 같은 분야에서 한국의 모빌리티를 미래 성장의 원천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서비스산업 비중은 약 60%로 선진국 중 최하위 수준이다. 우리는 그것이 70%에 도달해야 한다고 믿습니다. 따라서 고부가가치 서비스의 소스를 바꾸는 것이 두 번째로 큰 영역이 될 것입니다.
세 번째이자 마지막 영역은 농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측면이 있지만 특히 강조하고 싶은 측면은 인재, 특히 세계적인 수준의 인재입니다.
제가 정말 놀랐던 통계 중 하나는 2012년부터 2022년까지 일본에서 외국인 인재 수가 4배나 늘어났다는 것입니다. 이들은 숙련된 인력으로, 일본의 수는 4배 증가한 반면 한국의 수는 꾸준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그 어느 때보다 더 많은 숙련된 인력을 국내로 데려와야 합니다. 특히 성장 부족과 인구 감소에 관해 제가 처음 지적한 점을 고려하면 더욱 그렇습니다.
따라서 이것이 한국의 다가오는 S-곡선에 중요할 것이라고 우리가 믿는 세 가지 영역입니다. 그리고 저는 우리가 실제로 가능한 일에 대해 매우 기대하고 있다는 말로 결론을 내리고 싶습니다. 우리는 한국이 1인당 GDP가 7만 달러가 넘는 세계 7위의 경제 대국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믿습니다. 우리는 잠재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조치를 많이 취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