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1일, 서울 (코리아비즈와이어) – 드물게 장식된 방에는 벽에 생년월일이 적힌 나무 패널 4개가 붙어 있습니다. 남자 4명, 여자 4명, 모두 무당, 점쟁이, 타로 마스터 등의 직업을 가진 여덟 명이 한 명씩 방에 들어선다.
그들의 임무는? 출생 연도, 월, 일, 시간 등 한국 전통 점술에 사용되는 출생 정보만을 기반으로 잠재적인 연인을 선택합니다.
다음 날, 8명의 참가자들은 서로를 알아가기 위해 공동 숙소에 모인다. 이번에는 자신의 이름만 적힌 목판을 들고 다니며, 선택한 사람의 전날 나이나 출생 정보를 공개하는 것이 금지됩니다.
무당으로 소개된 한 참가자는 인터뷰에서 제작진에게 “정령들이 나에게 배정한 사람만 만나겠다”고 말했다.
지난 6월 18일 첫 방송을 시작한 SBS 새 리얼리티 ‘사랑에 빠졌다’의 전제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점쟁이와 오컬티스트가 등장하는 데이트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단숨에 대중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지난 6월 25일 방송된 2회는 20~49세 시청률 1.2%를 기록하며 동시간대 1위를 기록했다. 해당 프로그램 공식 유튜브 채널의 일부 영상은 조회수 20만 회를 돌파했다.
‘사랑에 사로잡힌’은 무속, 점술, 초자연적 현상을 중심으로 한 콘텐츠 등 한국 미디어의 성장 추세를 보여주는 한 예일 뿐입니다.
지난 2월 개봉한 무속의식을 다룬 영화 ‘엑슈마’는 천만 관객을 돌파했다. 영화는 이상한 유전병을 앓고 있는 의뢰인으로부터 거액의 돈을 받은 무당이 자신의 조상의 무덤 위치 때문에 문제가 발생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스트리밍 플랫폼 티빙(Tving)이 무속의례를 탐구하는 다큐 시리즈 ‘샤먼:귀신 이야기’를 7월 11일 출시할 예정이다. 여기에는 자신들이 겪는 무속 의식과 유령 때문에 고통을 겪고 있다고 믿는 사람들이 포함됩니다.
U+모바일TV 7부작 드라마 ‘타로’는 타로카드를 메인 소재로 7월 15일 첫 방송된다. 이 시리즈는 지난 4월 칸 국제 시리즈 페스티벌 단편영화 경쟁 부문에 초청됐다.
심지어 연예인 뉴스도 초자연적인 방향으로 바뀌었습니다. 배우 박철은 지난해 12월 베짱이 엔터테인먼트 유튜브 채널 영상에 신의 초대를 받은 모습이 등장했다. 그는 최근 MBN 예능프로그램 ‘렛츠고’ 시즌2에 출연해 근황을 전했다.
개그우먼 김주은은 9일 채널A ‘오은영의 황금상담소’에 출연해 천명을 받아 무당이 됐다고 밝혔다. 무당이 된 배우 정호근은 MBC ‘라디오스타’, ‘오은영의 황금상담소’ 등 여러 방송에 출연해 자신의 이야기를 털어놨다.
무속 관련 콘텐츠의 이러한 증가는 온라인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및 YouTube 사용의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샤머니즘은 항상 시청자의 관심을 끌었지만, 공중파를 사용하는 전통적인 방송사는 일반적으로 그러한 주제에 대해 조심스럽거나 비판적인 입장을 유지해 왔습니다.
그러나 미디어 플랫폼이 다양해지고 콘텐츠 경쟁이 심화되면서 제작자들은 점점 더 도발적인 주제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대중문화평론가 김성수 씨는 멀티미디어 시대에는 다양한 매체가 무한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로 인해 기존의 샤머니즘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은 물거품이 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추세는 무속 관습에 대한 오해의 소지가 있는 표현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킵니다. “Possessed Love”에서는 타로 전문가가 무당 참가자에게 자신의 연애 운세를 읽어 달라고 요청했을 때 그녀는 불리한 판독에 눈에 띄게 화를 냅니다.
일부 시청자들은 “젊은이들이 점술에만 얽매이는 모습이 보기 좋지 않다”, “타로를 그만 읽고 상대에게 집중해야 한다”며 불편함을 토로하기도 했다.
“시청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콘텐츠 제작자는 샤머니즘의 흥미롭고 단편적인 측면만을 강조하여 전체 그림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샤머니즘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심어줄 위험이 있습니다.”라고 김씨는 경고합니다.
장리나 ([email protected])
“정은 인터넷 세계의 활발한 팬입니다. 그는 트위터를 통해 다양한 주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며, 그의 솔직하고 사과하지 않는 태도는 많은 팔로워를 끌어들입니다. 그는 내성적인 성격과 깊은 독서 습관을 가지고 있으며, 대중 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주제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소셜 미디어 활동도 활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