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VNR 보고서 – The Korea Times








북한 VNR 보고서

글 양무진

북한은 7월 13일 유엔경제사회이사회 고위급정치포럼에서 열린 국가자발적검토(VNR)에 참가해 ‘2030 지속가능발전의제’ 이행에 관한 보고서를 제출했다. VNR은 모든 선진국과 개발 도상국이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의 이행에 참여하고 경험, 도전 및 교훈을 자발적으로 공유하고 검토하는 과정입니다.

2015년 유엔총회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가 채택되었고, 북한은 이를 이행하려는 비교적 적극적인 의지를 보여왔습니다. 북한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을 위한 내부기구로서 2018년 8월 부총리 겸 국가기획위원회 위원장이 주관하는 국가지속가능발전대책위원회(NTF)를 발족하고 6개 기술위원회(TC)를 구성했다. NTF 산하 중앙통계청 관계자들로 구성된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를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2019년에는 유엔 경제사회이사회가 주최한 워크숍에도 참여하여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자발적 국가검토보고서(VNR)를 준비했습니다.

다음은 북한 국가자율검토보고서의 특징이다. 첫째, 북한이 이번에 처음으로 보고서를 발표했다. 북한이 오랜 준비 기간을 거쳐 북한의 경제·사회적 현실에 대한 100여 개의 통계를 담은 63쪽 분량의 보고서를 국제사회에 내놓는 것은 이례적이다.

둘째, VNR 보고서의 특징은 북한이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를 북한의 국가경제발전전략과 연계 및 통합하여 국지화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사람들의 생활을 개선하기 위한 SDGs No.1의 빈곤과 SDGs No.2의 기아 근절은 농업 개발에 국한되지 않으므로 SDGs의 이행의 연속성을 보장하고 정치적 지향을 정당화합니다.

셋째, 북한이 기후변화 대응 등 글로벌 이슈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만하다. 북한은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한 농업생산 감소, 농업기반시설 파괴, 토양 및 수자원 손실 등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VNR(Voluntary National Review)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BAU) 대비 15.63% 감축을 목표로 설정한 유엔기후변화협약 이행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적 지원이 제공된다면 50.34% 감소가 예상된다.

넷째, 북한은 제재와 금수조치의 지속, 매년 발생하는 위험한 자연재해, 글로벌 보건 위기 등 적대시 정책이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에 심각한 걸림돌임을 인식하고, SDGs 달성.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VNR 보고서의 특징을 설명하자면 북한은 1차 보고서에서 국제사회의 유입에 동참해 정상국가로서의 경제발전 의지를 드러냈다고 할 수 있다. 북한이 실질적인 성과를 보기 위해서는 국제사회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수적이다.

그 중 하나가 북한의 국가통계 구축 능력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를 강화한다면 SDGs 이행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북한도 통계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중앙통계청의 역량강화와 통일통계체제 구축의 필요성을 국가자진보고서에서 강조하고 있다.

또한 북한이 기후변화에 관한 국제규범을 준수하려는 의지를 갖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우리는 북미 관계를 개선할 수 있는 전망을 가질 수 있습니다. 조지프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미국이 돌아왔다(America is back)’라는 키워드로 글로벌 문제에 적극 동참하겠다고 밝혔고 취임 첫날 미국을 파리기후변화협정에 재가입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 북한도 국가자율검토보고서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장기계획 수립을 위한 국제협력 강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기후대응과 관련한 다양한 북-미 공동 및 다자협력 방안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그들은 변한다. 미국이 제시한 글로벌 의제에 대해 북한이 긍정적인 행동을 할 것이라고 상상해보자.

대북 제재 면제도 기후변화 대응 등 글로벌 의제와 연계한 협력이 북한에 일방적인 경제적 편익을 제공하는 것이 적법하지 않기 때문에 광범위하고 유연하게 적용돼야 한다. 제재 등 압박에만 치중하는 대북정책은 상호 불신을 심화시킬 뿐이다. 국제적 의제에 대한 북한의 관심을 활용하여 이에 참여하고 협력을 강화한다면, 북한과의 신뢰를 회복하고 한반도의 평화와 공동번영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양무진([email protected])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이자 한국북한학회 부회장이다. 그는 또한 민족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이자 통일부 정책자문위원이기도 하다.

READ  The Fed sees higher bond yields and inflation expectations as a potential win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일본의 “Instafamous”대사, 자카르타에서 영향력 회복을 목표로

자카르타-그릇부터 카레, 매 아얌까지 인스 타 그램의 인도네시아 일본 대사관 팔로워 155,000…

마닐라와 워싱턴, 관계 강화를 모색하다

(현대화) 페르디난드 “봉퐁” 대통령 당선인은 목요일 웬디 셔먼 미 국무부 차관을 만나…

한국 규제 당국은 다음 단계를 다루고 있습니다

한국 최대 온라인 서비스 제공업체인 네이버와 카카오가 금융 서비스 분야에서 한 발…

영화 머니 하이스트: 코리아 보기

넷플릭스 2부 티저 예고편을 공개했다. 돈 습격: 한국 – 공동 경제 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