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강구 허산의 길거리 시장, 쌀 파는 사람, 달러 가격, 시장, 시장
자료사진: 양강도 혜산시 거리시장에서 북한 주민들이 물건을 팔고 있다. (© 데일리NK)

북한 당국은 수해 복구 노력의 일환으로 주민들을 동원하고 시장 운영 시간을 제한하는 데 힘쓰고 있다. 시장 활동 제한을 포함한 이러한 조치는 일반 대중이 직면한 경제적 어려움을 더욱 악화시켰습니다.

익명의 소식통은 29일 평안북도 데일리NK에 시장관리소들이 이달 초 내각으로부터 시장 운영 시간을 단축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전했다. 이에 평안북도에서는 장마당이 하루 3시간 이하로 운영되고 있다.

지난달 말까지 공식 시장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하루 8시간 동안 운영됐다. 그러나 당국은 “수해 복구를 위해 낮 동안 최대한 많은 사람을 동원해야 한다”며 갑자기 시장 운영시간을 단축했다.

평안북도 공식 시장 입구에는 수해복구 기간 동안 해당 시장이 오후 5시 이후에 개장한다는 안내판이 게시됐다. 홍수복구 노력이 언제 끝날지 현재로서는 아무도 모르기 때문에 시장 운영이 언제 정상화될지는 예측하기 어렵다.

특히 수해 피해가 심각한 의주 연하동시장과 신의주 진선동 시장은 20일 넘게 문을 열지 않아 인근 주민들이 경제활동을 하지 못하고 있다. 시장.

일부 상인들은 이른 아침이나 숨은 골목길에서 몰래 물건을 파는 소위 메뚜기 장사를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비공식 시장에 대한 단속은 과거보다 더욱 심해졌다. 실제로 시장 관리 담당자, 경찰, 법 집행팀은 시장 근처에서 불법적이고 등록되지 않은 사업 활동을 정기적으로 표적으로 삼습니다.

정부의 조치는 불만을 불러일으킨다

국민 불만도 커지고 있다. 소식통은 많은 가족이 시장의 경제 활동에 의존하기 때문에 시장 운영 시간을 줄이는 것이 큰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신의주의 한 상인은 남편이 거의 매일 무보수로 일해 남편의 친척과 아이들을 먹여 살리는 일이 전적으로 자신에게 달려 있는데, 시장이 문을 닫으니 더 이상 먹고살 수 있는 것이 없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

북한 주민들은 장마당 영업시간 단축 조치가 민생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불만도 제기하고 있다. 소식통은 “전국민의 수재복구에 동참을 요구하고 시장을 폐쇄하는 것은 굶어 죽든 말든 당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일 뿐”이라며 “국가가 국민을 생각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다시 한번 드러났다”고 말했다. 조금도.”

READ  K-POP은 전 세계에서 춤을 춥니다.

지난달 홍수로 인해 북한과 중국 사이의 무역과 밀수가 차질을 빚고, 북한 내 물품 유통이 어려워지면서 상인들은 시장이 열려도 선택의 여지가 거의 없다.

실제로 신의주와 의주 지역의 정규 시장 노점상에서는 야채, 국수 등 기본적인 식품 외에는 아무것도 판매하지 않습니다. 소식통은 “시장이 열려도 팔 물건이 많지 않아 거래자들이 돈을 버는 데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데일리NK는 북한, 중국 등의 소식통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보안상의 이유로 그들의 신원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이나 질문이 있으시면 [email protected]으로 보내주세요.

한국어로 읽기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특사는 한국이 고위급 교류와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카타르 경제 관계를 확대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준호 주한미국대사 도하 주재 수석 외교관은 한국이 올해 반도체, e-모빌리티, 그린 에너지…

8월 걸그룹 8월 순위 발표

한국기업평판연구원이 이달의 걸그룹 브랜드평판 순위를 공개했다. 순위는 7월 15일부터 8월 15일까지 수집된…

호주, 선거 재편 가능성 속에서 금리 인상 | 비즈니스 및 경제

RBA의 움직임은 수백만 명의 호주인이 주택 융자금을 더 많이 갚아야 한다는 것을…

사설: DEI는 캘리포니아의 일상적인 경제 현실이어야 합니다.

캘리포니아는 아일랜드인과 에티오피아인에서 과테말라인과 한국인에 이르기까지 70개 이상의 큰 민족 그룹이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