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벤자민 카지프 실버스타인

중국과 북한 간 철도가 다시 개통된 지 두 달이 지났다. 아직 그러한 급격한 변화를 완전히 평가할 시기는 아니지만, 국내 시장에서 흥미로운 가격 움직임을 볼 수 있습니다. (클릭하시면 전체 차트를 보실 수 있습니다.)

북한 3개 도시의 쌀, 휘발유, 경유, 미국 달러, 위안화 평균 시장 가격. NK Econ Watch의 그래프. 데이터 출처: NK데일리.

첫째, 당연하게도 환율이 급등했습니다. 무역 재개의 소식이 전해지면 더 많은 북한 주민들이 외화를 보유하고 해외에서 물품을 수입 및 구매하기를 원할 것이기 때문에 이것은 매우 논리적입니다.

둘째, 디젤 및 일반 연료 가격이 매우 급격하게 상승했습니다. 데일리NK로 메모, 북한의 유가 상승은 국제 유가보다 훨씬 높습니다. 이것은 또한 기업들이 국경 무역이 증가함에 따라 수요 증가를 예상하여 연료 구매를 늘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의미가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 가격이 두 배 이상 올랐음을 감안할 때 전체 증가 규모가 이런 식으로 설명될 수 있을지 확신할 수 없습니다. 경유 가격도 큰 폭으로 올랐는데,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함께 오르락내리락하지 않는 점을 감안하면 다소 이례적이다. (휘발유 가격은 북한 시장에서 가장 변동이 심한 곳 중 하나이며 지정학적 상황에 따라 종종 변동합니다.)

중국의 높은 가격, 디젤과 가솔린 모두에 대한 강력한 기여 요인이 될 것입니다. 위 기사에서 데일리NK가 언급한 또 다른 중요한 요소는 북한 정부가 민간 연료 판매를 제한하려는 움직임으로, 공급업체 사재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급격한 환율 상승으로 연료비도 비싸지지만, 환율보다 유가가 더 빨리 올랐습니다.

중국으로부터의 공급 증가는 연료 가격을 안정시킬 수 있지만 국제 유가 상승으로 인해 북한으로의 배송 비용은 중국에게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READ  김정은 "북한 ​​경제, 최악의 상황"

원본 기사 보기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을 피하다 – Korea Times

피터 S.가 각본을 맡은 작품 김 지난 1월 한국 정부가 기업 가치…

아프리카개발은행과 한-아프리카 경제협력기금이 협력하여 사헬 5개국 관세 서비스 강화 | 아프리카개발은행

아프리카개발은행은 한·아프리카 경제협력기금(KOAFEC)의 지원을 받아 부르키나파소, 말리, 니제르, 차드 세관원 40명을 모아…

UAE와 한국은 경제 및 투자 협력 강화를 논의하고 있습니다.

양국 간 무역 교류가 늘었다. 9 2023년 첫 두 달 동안 %…

실시간 업데이트, 일본 인플레이션, PMI 수치

2시간 전 11월 일본 공장 활동 여전히 위축 A씨에 따르면 일본의 공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