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이 2009년 금융위기 당시 수준으로 돌아왔고, 한미 간 ‘금리 역전’이 예상되고, 환율이 1,300원대를 돌파하기 직전이다. 투자자들은 심리적으로 흔들릴 수 있습니다. 원화 가치 하락으로 2022년 국내 금융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각액은 15조원을 넘어섰다. 국내 채권시장에 대한 외국인 투자도 불과 3개월 만에 7분의 1로 급감했다.
미국의 급속한 긴축 조치로 한국은 물론 일본과 중국에서도 위안화 가치가 하락했다. 그러나 우리 경제의 규모는 상대적으로 작고, 원화는 세계통화시장에서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외환시장의 변동성 확대에 대한 우려가 있다. 원화 가치가 급락하면 원유와 원자재를 포함한 수입품 가격이 더 비싸져 인플레이션 압력이 가중될 수 있다.
외환위기를 걱정하는 것은 지나친 걱정일지 모르지만, 최악의 경우를 대비해 안전망을 마련하는 것은 필요하다. 강경한 미국 금리에 대응하는 것은 경기 침체가 장기화될 때 충분히 효과적이지 않을 것입니다. 한국은 다가오는 한미정상회담에서 미국과 환율협정을 체결해야 합니다.
통화스와프를 통해 한국은 원화에 상응하는 금액으로 미국 달러를 빌릴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 달러를 인쇄하는 수동적 통장을 만드는 것과 비슷합니다. 규모에 관계없이 통화스왑은 그 상징적 의미를 통해서만 외환시장을 효과적으로 안정시킬 수 있다. 2008년 한국은 미국과 300억 달러 규모의 통화스와프를 체결하고 글로벌 금융 위기를 극복했습니다. 2020년 3월 코로나19 팬데믹이 확산되면서 양국은 2021년 말에 만료된 외환 거래를 종료했습니다.
미국은 유럽연합, 영국, 일본과 같이 주요 통화를 보유한 소수의 동료들과만 영구 스왑 라인을 구축했습니다. 다른 나라들과 일정 기간 물물교환 협정을 맺을 뿐이고, 한국이 미국과 협상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는 비판도 있다. 그러나 한미동맹은 군사동맹을 넘어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구축 등 다양한 이니셔티브에 협력해 포괄적인 경제안보 동맹으로 진화하고 있다. 우리는 미국에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물어봐야 합니다. 한국이 미국과의 반영구적 환율협정에 합의하면 우리나라 금융시장의 안정성이 제고되고 미국도 이 협정의 수혜를 입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