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킨지앤컴퍼니(McKinsey & Company)는 12월 11일 ‘한국의 차세대 S커브’라는 제목의 경제 진단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한국 경제가 성장 한계에 도달했음을 지적한 ‘한국 스타일을 넘어서: 새로운 성장 공식의 형성’이라는 제목의 이전 보고서 이후 10년 만에 나온 것이다.
맥킨지는 10년 전 보고서에서 한국 경제를 “끓는 물 속의 개구리”에 비유했다. 그러나 현재 보고서에서 Mackenzie는 이제 개구리를 냄비에서 꺼내야 할 때라고 믿습니다. 새로운 경제성장 모델을 과감하게 추진하라는 권고다.
보고서에 따르면 맥킨지는 2040년 한국의 국내총생산(GDP)이 3조2000억~3조4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지난 8월 S&P가 전망한 2조4000억 달러, 영국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이 2조2000억 달러로 전망한 것과 비교하면 7억5815만 달러로 소폭 높은 수준이다.
이를 달성하려면 한국은 2040년까지 연평균 경제성장률을 4%로 끌어올려야 한다. 한국은행은 올해 경제성장률을 1.4%로 전망했다. 맥킨지 역시 “국가 성장이 정체된 상황에서 경제성장률 4%로의 도약은 쉽지 않지만 국가 경제성장을 위한 새로운 공식을 뒷받침하는 혁신적 방안의 도입이 있다면 가능하다”고 어려움을 인정한다. McKinsey는 사례를 인용하여 미국이 1991년부터 1995년까지 2%대 성장 위축을 경험했다가 1996년부터 2000년까지 4%대로 반등했다고 밝혔습니다. 마찬가지로 독일도 1991년 중반에 성장 둔화를 겪었습니다. % 범위는 1991년부터 2005년까지였지만 2006년부터 2011년까지 성장률은 4%에 근접했습니다.
맥킨지 분석에 따르면 한국이 4% 성장률을 달성하려면 매출 1000억 달러, 100억 달러, 10억 달러 기업의 매출을 각각 5배, 2배, 100배 늘려야 한다고 맥킨지 분석은 밝혔다. 지난해 기준으로 1000억 달러 기준을 넘은 국내 기업은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SK 등 3개 기업뿐이다. 맥킨지는 특히 재생에너지, 생명공학, 인공지능, 모빌리티, 반도체 등 산업에서의 성장 필요성을 강조했다.
맥킨지는 중소기업의 생산성을 두 배로 높여야 한다고 조언하기도 했다. 한국중소기업협회에 따르면 한국 중소기업의 생산성은 대기업의 약 30% 수준으로 OECD 평균 50%보다 낮다. 맥킨지는 “한국 기업의 거의 99%와 인력의 약 80%가 중소기업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중소기업의 1인당 생산성 향상의 승수 효과는 한국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GDP 대비 자본 시장 규모를 두 배로 늘릴 것을 제안했습니다. 2018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의 GDP 대비 자본시장 규모는 9.5%로 미국(25%), 영국(20.6%), 일본(11%)보다 낮다. 맥킨지는 이러한 조치의 일환으로 주주가치 제고, 지배구조 개선, 자본시장 선진화를 위한 정책과 외국인 투자 비중 확대 등을 통한 자본 조달원 다변화 등의 노력을 언급했다.
또한 McKinsey는 GDP의 70%에 달하는 서비스 부문 점유율 달성, 활기 넘치는 보스턴 클러스터와 같은 3개 이상의 세계 선도 클러스터 조성, 상당한 경쟁 우위를 지닌 2개 이상의 새로운 세계 선도 산업 도입 등을 포함한 몇 가지 권장 사항을 제안했습니다. 반도체 등. 배터리, 5만명의 첨단 인공지능 전문가 후원.
2013년 인구통계학적 불균형, 낮은 노동생산성, 한국 주식시장의 낮은 평가를 가리키는 주식시장의 ‘한국형 디스카운트’ 보고서가 나온 지 10년 만에 맥킨지는 “10년이 지났다. 낮아졌습니다. 그릇 안쪽이 더욱 솟아올랐다. 상황이 진정되기를 기다리기보다, 개구리를 냄비에서 꺼내 경제를 새로운 S자 성장 곡선으로 밀어넣기 위해 과감한 변화를 시도하고 시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