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덕
저자는 중국 연구소의 선임 기자입니다.
중국 시장에는 한국 브랜드가 없다. 한국산 자동차, 휴대폰, 텔레비전, 심지어 화장품도 찾아보기 어렵다. “어떻게 이런일이 일어 났습니까?” 한 중견 화장품 회사의 대표가 중국 영업팀장을 맡아달라고 부탁했다.
팀장은 “중국 젊은 소비자들의 ‘애국적 소비’ 성향 때문에 외국 브랜드가 시장점유율을 잃고 있다”며 “이를 해결할 방법이 없다”고 답했다.
진심으로? 그냥 핑계 아닌가요?
불행히도 이것은 사실입니다. 글로벌 슈퍼 브랜드라도 ‘민족주의’의 대상이 되면 중국 시장에서 하루아침에 축출될 수 있다.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으로 국민 소비가 더욱 확산되고 있다.
세계 최고의 스포츠 브랜드인 나이키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이 회사는 2021년 초 중국 위구르족 강제 노동으로 인해 신장 자치구 면화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뒤 ‘녹아웃’의 대상이 됐다. 결국 시장 점유율 1위는 중국 브랜드 안타스포츠(ANTA Sports)에게 돌아갔다.
맥킨지는 젊은 중국 소비자들이 외국 브랜드에 쉽게 끌리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그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품질과 가격입니다. 컨설팅 업체는 문제의 핵심은 국가 지출 경향이 아니라 중국 기업의 혁신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미국 유튜버도 ANTA 농구화의 품질이 나이키 신발 못지않다고 인정했다.
그러나 이것은 공평하지 않습니다. 갤럭시 스마트폰은 세계 모바일 시장에서 22%로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시장점유율이 1% 미만이다. 현대차도 상황은 비슷하다. 그러나 그들은 자신을 비난해야합니까?
여기서 고려해야 할 것은 국가 개입이다. 나이키의 경우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사건 이후 나이키는 중국 국영 언론의 불매운동 조장에 시달렸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나이키는 중국에서 한 푼도 벌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태 때 갤럭시와 현대차가 중국 시장에서 순식간에 입지를 잃은 것과 비슷하다.
되찾을 수 있는 방법은 단 하나. 한국 제품은 고품질 혁신을 이뤄 중국 제품을 뛰어넘어야 하고, 정부는 한중 관계의 안정적인 관리를 통해 외부 영향을 막도록 도와야 한다. 전자는 기업의 몫이고 후자는 정부의 몫이다. 이것이 불가능하다면 중국에서 한국 브랜드의 부재는 계속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