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남한은 여전히 ​​대립 중이다.
북한과 남한은 여전히 ​​대립 중이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북한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3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해 남북 간 1인당 소득격차가 최대 30배까지 벌어졌다. 지난해 북한 인구는 남한 인구의 절반 수준이었다.


통계청이 20일 발표한 ‘2023년 북한 주요통계지표’에 따르면 지난해 북한의 실질GDP 성장률은 -0.2%를 기록했다. 제조업은 4.6%, 기타 광업은 1.3%, 농림업은 2.1% 감소했다. 이는 2020년 4.5%, 2021년 0.1% 위축에 이어 3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것이다.


지난해 북한의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36조2000억원으로 남한 GDP(2조161조8000억원)의 1.7%, 규모는 60분의 1 수준이다. 명목 국민총소득은 36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1인당 국민총소득은 전년 대비 0.5% 증가한 143만원을 기록했습니다. 1인당 국민소득 4249만원인 한국과의 격차는 2021년 28.6배에서 29.7배로 커졌다.


지난해 북한의 총 무역액은 15억9000만달러로 122.4% 증가했다. 국내총생산(GDP)이 1조4000억 달러에 달하는 한국과의 격차는 줄어들었지만 892.2배로 상당한 수준에 머물렀다. 중국은 북한 무역의 96.7%를 차지하는 최대 무역 상대국이다. 이어 베트남(1.0%), 아르헨티나(0.8%)가 뒤를 이었다.


북한의 수출은 93.9% 증가한 1억6천만달러, 수입은 126.1% 증가한 14억3천만달러를 기록했다. 가장 큰 수출 품목은 ‘광석 및 슬래그’로 전체의 28.0%를 차지했고, 주요 수입 품목은 ‘광물 연료 및 광물유’가 36.4%를 차지했다.


북한의 발전용량은 8,270MW로 남한의 1/17에 불과하고, 발전량은 264억kWh, 남한의 1/23에 불과하다. 북한의 농작물 생산량은 451만톤으로 전년도에 비해 4.0% 감소했다. 이 중 쌀 생산량은 207만톤으로 3.8% 감소해 남한 생산량 376만톤의 55.1%에 그쳤다.


지난해 북한 인구는 2,570만명으로 전년보다 9만명 늘었지만 남한 인구 5,167만명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남북 합산 인구는 2021년 7,738만명에서 7,737만명으로 소폭 감소했다. 남북 총인구가 감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북한의 합계출산율은 1.61명으로 남한의 저출산 추세와 비슷한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오클랜드 뉴스 A: 한국의 KBO와 일본의 NPB가 금지된 선수들의 상륙 장소입니다.

운동의 나라, 즐거운 목요일! 조만간 메이저 리그 야구 경기가 열리지 않으며, 이번…

코로나 19 백신 부족에 대한 한국의 해결책 : 미국에 스왑 요청

서울-한국은 선진국이 코로나 19 백신 출시 지연을 완화 할 수있는 해결책을 가지고있다…

한국 최초의 달탐사선 다누리호, 달 궤도 진입 시작

대한민국 최초의 심우주 탐사선 단오리가 4개월간의 여정 끝에 드디어 달에 도착했습니다. 그만큼…

인공지능(AI) 붐 속에 국내 반도체주가 10년 만에 가장 빠른 속도로 줄어들고 있다

한국의 반도체 재고는 2014년 이후 가장 많이 감소했는데, 이는 고객이 인공지능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