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은 한국 철강 수출의 13.5%를 차지해 원가 부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유럽연합(EU)은 한국 철강 수출의 13.5%를 차지해 원가 부담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기후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산업 변혁에 대한 전 세계적인 노력이 한국 경제를 점점 더 짓누르고 있습니다.


16일 기후단체 클라이밋솔루션즈(Climate Solutions)에 따르면 현행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가 지속되면 2040년부터 ‘유럽 수출’에 연간 1910억원의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이 시나리오는 탄소경계 조정 메커니즘에 대응하지 못하는 상황을 가정한 것이다. . (CBAM)은 철강과 같은 탄소 집약적인 제품을 EU로 수출할 때 생산 과정에서 배출되는 탄소 양에 해당하는 인증서를 구매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2022년 기준 EU는 한국 철강 수출의 13.5%를 차지해 아세안(17.9%)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시장이다. EU 수출 비중은 2020년 9.3%에서 매년 증가해 수출 의존도가 높아진다. EU 시장에 대한 이러한 증가된 의존도는 CBAM과 같은 엄격한 환경 규제가 2026년까지 완전히 시행될 예정인 시기에 이루어졌습니다.


전력을 많이 소비하는 철강산업도 조사 대상이다. 전기로 비중을 늘리거나 수소환원을 통해 철강산업을 발전시키는 등 대안이 제시됐다. 그러나 전기로용 신재생에너지 확보가 쉽지 않고, 수소환원을 통한 제철도 아직 상용화 기술은 아니다.


한국 경제의 초석인 반도체 산업도 큰 압박을 받고 있다. 2022년 기준으로 삼성전자는 37,000GWh, SK하이닉스는 12,000GWh의 전력 소비를 기록했는데, 이들 두 회사만 같은 해 국내 재생에너지 발전량(56,000GWh)의 87%를 소비했다. 업계는 그린피스 등 국제 환경단체로부터 경고를 받았다. 반도체 부문이 2030년까지 RE100(재생에너지 100% 전환)을 달성하지 못하면 수조원에 달하는 탄소세가 부과된다. 2030년에만 삼성전자는 14조원, SK하이닉스는 2조원을 탄소세로 지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국적 기업들은 RE100 캠페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소싱 과정에서 RE100 준수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Apple과 Microsoft는 2030년까지 파트너를 포함한 전체 공급망에서 100% 재생 에너지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따라서 재생 에너지는 반도체 수출에 필수적입니다.


탄소 비용을 적절하게 계산하고, 무역 장벽을 예방하고, 재생 에너지 자체를 확대하기 위해 온실가스 완화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는 요구가 반복적으로 있습니다. Climate Solutions는 현행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개편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습니다. 정부는 배출권을 기업에 과도하게 할당하고 있으며, 무상할당 비율이 높아 온실가스 감축을 저해하고 있습니다. 배출권을 모두 무료로 취득한 철강회사는 배출권을 거래해 추가 수익을 얻는다.

READ  한국, K팝 팬만을 위한 비자 출시


“유료 할당을 강화하는 것은 국가 자원에 대한 ‘녹색 무역 관세’의 형태로 다른 국가에 전달될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자원을 사용하면 국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라고 Climate Solutions Foundation은 말했습니다. 국내 배출권 가격은 EU 가격의 10% 미만이며, CBAM이 완전히 시행되면 업계는 그 차액을 유럽에 탄소세로 지불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지급된 할당량을 늘려 모금한 자금을 저탄소 기술에 재투자하는 것도 제안되었습니다. 수소환원철강산업에 대한 정부 지원금액은 2,685억원으로 독일(약 10조2000억원)이나 일본(4조원 이상)에 비해 매우 낮은 금액이다.


그린피스는 화석연료 중심의 ‘낡은’ 에너지 공급 계획에 대한 개선을 촉구했습니다. 정부는 액화천연가스 발전소 6기를 신규 건설하고 동해안 석탄발전소와 연계해 용인 국가반도체산업단지의 에너지 수요에 대응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이 국가산업단지에 입주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산업단지 완공일은 2031년으로 예정돼 있는데, 이때부터 석탄화력을 활용한 제품을 생산하게 되면 국제경쟁력이 상실될 수 있다. 인텔의 RE100 목표연도는 2030년이고, TSMC와 ASML의 목표는 2040년이다.


기후환경단체들은 국가산업단지를 위한 재생에너지 클러스터 조성에 정부와 업계가 협력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그린피스는 “국가산업단지 내 LNG발전소 건설 계획을 취소하고, 재생에너지 중심의 ‘탄소중립’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노력이 필요하다”며 “기업은 RE100을 위한 적극적인 투자를 미루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한국의 ‘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 전략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

유럽연합이 미국과 중국 간의 긴장 속에서 경제 이익과 안보 이익의 균형을 맞추기…

아프리카 개발 은행 : 나이지리아는 코로나 바이러스로부터 회복하기 위해 긴급한 경제적 다각화가 필요합니다

아프리카 개발 은행 (AfDB)은 경제 다각화가 COVID-19 대유행으로 인한 현재 세계 경제…

Google 및 Apple 앱 결제 작업이 한국 법에 의해 타격을 받았습니다.

통신사업법 개정안이 문재인 대통령 정당의 지지를 받아 20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문…

남한, 통일부 장관에 북한 인권 비판론자 선출

[1/3]2022년 10월 6일 대한민국 파주에서 남북한을 분리하는 비무장지대(DMZ) 근처의 통일전망대에서 찍은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