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조사업체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2023년 한국 성인 1인당 평균 커피 소비량은 연간 405잔에 달해 전 세계 평균 152잔의 2배가 넘는다. 이는 아시아 주요 국가 중 소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1인당 하루에 커피 한 잔 이상을 마신다는 뜻이다.
국내 커피 시장 규모는 해마다 확대되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2022년 커피 수입액은 2021년 대비 42.4% 증가한 13억 달러에 달했다. 연간 수입량도 20만톤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세청 세무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기준 전국 스페셜티 커피 매장은 약 9만6650개로 전년 동월 대비 4200여개 가까이 늘었다.
국내 커피 시장의 성장세를 보면, 해외 유명 커피 브랜드의 국내 진출이 늘어나고 있다. 지난 12월 14일, 캐나다 커피 브랜드 팀홀튼(Tim Hortons)이 한국에 첫 매장을 오픈했습니다. 미국 스페셜티 커피 3대 브랜드 중 하나인 인텔리젠시아(Intelligentsia)가 한국 시장 진출을 계획하고 있다. 미국 서부 지역의 또 다른 대형 커피 브랜드인 피츠커피(Peet's Coffee)는 지난 5월 한국에 상표등록을 하고 1호점 오픈을 준비 중이다. 북미 커피숍 체인들이 현지 커피숍 브랜드들과 치열한 경쟁을 벌일 태세다. 업계 전문가들은 국내 커피 시장의 과포화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다.
이런 환경에서 스타벅스 같은 고가 커피숍과 메가MGC커피(메가커피), 콤버스커피 같은 저가 체인점들이 한국 커피 시장을 분열시키며 개인 소유 커피숍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유통업계에서는 가격보다 심리적 만족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스타벅스 선호 현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메가커피 등 가성비 좋은 체인점의 성장도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커피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저가형 커피 체인점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메가커피를 운영하는 앤하우스는 2022년 매출 1조7480억원으로 전년 대비 99% 증가했다. 하지만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3100억원으로 27% 감소한 반면 순이익은 46% 늘어난 410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12월 21일 기준 메가커피는 가맹점 수는 2,737개로 2022년 1,593개에 비해 크게 늘었다. 특히 메가커피는 지난해 축구선수 손흥민과 걸그룹 ITZY를 모델로 기용해 눈길을 끌었다.
컴포즈커피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와 컴포즈커피에 따르면 2020년 기준 400여개 수준이던 가맹점 수는 현재 2,400여개를 넘어섰고, 컴포즈커피 앱 가입자도 단숨에 1,100만명을 넘어섰다. 2021년 2월 앱을 출시한 지 3년이 넘었습니다. 올해로 브랜드 10주년을 맞이해 그룹 방탄소년단의 뷔를 모델로 기용했습니다.
저가 커피 전문점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스타벅스 등 고가 커피숍의 시장 영향력은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국내에서 스타벅스를 운영하는 SCK는 2022년 매출 2조5939억원으로 연매출 3조원에 육박했다. 2022년 영업이익은 2021년에 비해 약 1000억원 정도 낮아 다소 부진한 실적을 보였지만 지난해 눈에 띄게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회사의 3분기 매출은 7,586억원으로 2022년 3분기 대비 15.3%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87% 증가한 498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저가형 카페의 대폭적인 확장에도 불구하고 스타벅스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가 여전히 높다는 견해를 뒷받침합니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 소비자들은 새로운 경험에 열려 있고 새로운 시도를 두려워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며 “글로벌 브랜드들이 한국에서의 성공을 바탕으로 한국 시장을 다른 나라로 진출하기 위한 테스트베드로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적응하지 못한다면 2019년 한국에 진출한 블루보틀이 보여준 것처럼 급변하는 소비자 트렌드에 맞춰 현지화에 실패하는 브랜드는 장기적인 성공을 거두기 어려울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