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업총연합회 깃발
한국기업총연합회 깃발


국내 기업의 출산휴가와 육아 수준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가운데 5위라는 보고서가 나왔다. 그러나 육아휴직 사용자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사용률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더 많은 부모들이 육아휴직을 활용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기업중앙회(KEF)는 '출산·육아휴직 제도와 시사점에 관한 비교연구'라는 보고서를 발간하고 관련 내용을 공개했다고 7일 밝혔다. KEF는 이번 보고서에서 남성과 여성 모두를 대상으로 출산 및 육아 휴직 기간과 보상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국제적으로 비교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보장 수준은 OECD 38개국 중 5위다.


우리나라 제도는 출산전후휴가와 여성 육아휴직을 합산하면 64.9주의 보장기간을 제공하고 있다. 여기에는 출산 전후 90일의 출산휴가와 1년의 육아휴직이 포함되며 급여율은 52.4%이다. 그러나 보장기간과 급여를 모두 고려하여 평균소득을 100% 보장하는 기간, 즉 완전유급휴가로 환산하면 한국은 34주로 OECD 38개 국가 중 16위를 기록했다.


유급휴가 기간을 기준으로 보면, 한국의 여성휴직 및 육아보장 수준은 독일(9위)보다 낮았다. 일본은 14위, 그리고 스웨덴은 15위를 차지했습니다. 하지만 24위인 프랑스보다는 높았다. 영국은 34위; 그리고 미국은 38위를 차지했습니다.


남편 출산휴가와 남성 육아휴직을 합산하면, 우리나라 남성의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보장기간은 남편 출산휴가 10일, 육아휴직 1년을 포함해 54주, 급여는 46.7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 평균소득을 100% 보장하는 완전유급휴가 기간은 25.2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중 일본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여성과 남성 모두의 출산 및 육아휴직 전체 유급휴가 기간을 비교하면, 한국은 총 59.2주로 OECD 38개국 중 5위를 기록했다. 이로써 한국은 스웨덴은 물론 일본을 제외한 G5 국가보다 수준이 높은 셈이다.


지난 20년 동안 한국의 출산휴가 및 육아 정책은 급속도로 확대되었습니다. 육아휴직 급여는 월 20만원에서 통상임금의 80%로 인상됐다. 아내의 출산휴가는 무급 3일에서 유급 10일로 연장됐다. 또한, 2022년생 자녀를 둔 부모의 육아휴직 사용률 예비자료에 따르면 여성은 70%, 남성은 6.8%로 30.2%로 나타났다. 이는 2015년에 비해 전체적으로 11.6%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여성은 12%포인트, 남성은 6.2%포인트 증가했다.

READ  KBS 뉴스


그러나 한국의 모성보호제도가 급속하고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업무 중단 방지와 저출산 극복이라는 정책 목표가 제대로 달성되지 못했다고 한국경제재단은 평가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워커 | “대한민국 국민은 훌륭했습니다.” | 아카데미 | 소식

리차드 워커(Richard Walker)는 한국에서 울브스를 대표하게 된 것을 영광으로 생각하며 그의 팀에…

호주 남자 트리플 산탄총, 한국월드컵 동메달 획득

일요일(17열 번째 2022년 7월) Dane Sampson(QLD), Jack Rossiter(SA), Michael Davis(VIC)로 구성된 호주…

K팝이 글로벌화되면서 한국인은 소비에서 뒤쳐지고 있다.

보이그룹 방탄소년단(BTS)이 2022년 4월 3일 미국 라스베이거스 MGM 그랜드 가든 아레나에서 열린…

7월 한국 수출, 2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증가세 기록: 로이터 여론조사

이지훈이 쓴 서울(로이터) – 미국의 강한 수요와 중국의 회복으로 컴퓨터 칩 판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