벵갈루루(로이터) – 경제학자들의 로이터 설문 조사에 따르면 한국 경제 성장은 수출 부진과 금리 상승으로 인해 경제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민간 소비에 타격을 입혀 4분기에 소폭 둔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시아 4위 경제 대국의 수출이 6월에 급감한 반면 수입도 감소하여 국내 및 해외 수요, 특히 최대 교역 상대국인 중국으로부터의 역동성이 부족함을 지적했습니다.

22명의 이코노미스트 예측 중앙값에 따르면 연간 기준으로 국내총생산(GDP)은 4월~6월 기간에 0.8%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어 1월~3월 기간의 0.9% 성장률에 비해 약간 둔화되었습니다.

그러나 분기별로 수출 의존 경제는 계절 조정된 0.5% 성장하여 전 분기의 0.3%에서 약간 증가하여 1분기 기술적 침체를 간신히 피한 후 부진한 회복을 보여주었습니다.

하이투자증권의 박상현 이코노미스트는 “수출과 제조업 부진, 투자 부진, 정부 지출 둔화 등으로 GDP 성장률이 1분기와 비슷한 속도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경제 성장은 올해 하반기에 반등할 것으로 예상되지만…그것은 중국의 경제 회복 속도에 달려 있습니다.”

세계 2위 경제 대국인 중국이 올해 5.5%, 내년에는 4.8% 성장에 그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코로나19로 인한 봉쇄 조치가 종료되면서 중국의 경제 호황에 대한 초기 희망은 사라졌습니다.

실망스러운 성장 수치는 세계 경제에 충격파를 보냈고,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 수요에 크게 의존하는 다른 아시아 경제에도 영향을 미쳐 더 넓은 경제 전망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켰습니다.

별도의 로이터 여론조사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평균 1.2%로 지난해 2.6%보다 크게 떨어졌다.

Capital Economics의 신흥 아시아 이코노미스트 Shivan Tandon은 “경제는 어려움을 겪을 것입니다. 내수는 긴축 통화 정책으로 인해 여전히 억제되고 수출은 선진국의 수요가 약해지고 자동차 생산 지원이 약해지면서 약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Anant Chandak의 보고; Devayani Sathyan의 국민 투표; Jonathan Capel과 Sharon Singleton의 편집

우리의 기준: Thomson Reuters 신뢰 원칙.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국내 대기업 최고경영진, 내년 CES·WEF 합류

한국 최대 기업의 최고 경영진이 글로벌 입지를 확장하기 위해 비즈니스 매력에 대한…

금감원장은 단기자금시장 모니터링 노력을 지속하고 변동에 대한 시의적절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다짐했다.

금감원장은 단기자금시장 모니터링 노력을 지속하고 변동에 대한 시의적절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다짐했다. 이복현…

이집트와 한국, 4월 말까지 무역 이동 촉진을 위한 협정에 서명

Mohamed Maait 이집트 재무장관은 이집트가 유망하고 매력적인 기회와 투자 및 생산 활동의…

로이터 통신, 칩 판매 증가와 중국 경기 회복 덕분에 한국 수출이 4개월째 증가

© 로이터. 2020년 7월 9일 한국 평택 평택항 전망대에서 한 남자가 크레인과…